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금융위 "가계부채 증가세 안정"…증가액은 여전히 우려수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리스크관리 노력으로 은행 이어 2금융권도 안정세"

작년 대비 증가속도 줄었지만 폭증세 이전 비교하면 4배 수준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올해 들어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둔화하며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금융당국이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가계부채 급증세가 본격화하기 이전인 2013∼2014년과 비교하면 증가액 절대 규모가 여전히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금융위원회에 발표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집계하는 속보치 통계 기준으로 4월 1일부터 5월 12일까지 금융기관 가계대출은 총 10조원(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양도분 포함) 증가해 작년 같은 기간 증가액(12조7천억원)보다 증가폭이 2조7천억원 줄었다.

은행 가계대출이 이 기간 6조7천억원 증가해 작년 같은 기간 증가액(7조3천억원 증가) 대비 6천억원 줄었고, 나머지 제2금융권 대출은 3조3천억원 증가해 작년 같은 기간(5조4천억원) 대비 증가 폭이 2조1천억원이나 감소했다.

금융위가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해 "은행뿐 아니라 제2금융권도 점차 증가세가 안정화하는 모습"이라고 평가를 한 근거다.

특히 제2금융권은 3월 이후 대출심사를 강화하는 내용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을 본격화해 은행권 대출규제 강화 이후 '풍선효과'로 급증했던 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인 모습이다.

가계부채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평가받는 중도금 대출도 금융사들이 사업장 심사를 엄격히 하면서 신규 승인액이 크게 줄었다.

아파트 신규 분양 봇물이 터졌던 2015년과 작년에는 4월 중도금 대출 신규 승인액이 각각 5조5천억원, 5조9천억원에 달했으나, 올해 4월엔 3조3천억원으로 축소됐다. 다만 2014년 4월(2조7천억원) 신규 승인액보다는 여전히 많은 수준이다.

한편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가계신용을 보면 가계부채 급증세가 꺾였다고 단정하긴 어려워 보인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가계신용 잔액은 1천359조7천억원로, 작년 말(1천342조5천억원)보다 17조1천억원 늘었다. 1분기 기준으로는 사상 두 번째를 기록할 정도로 증가 규모가 크다.

가계부채가 폭증하기 전인 2010∼2014년 가계부채의 1분기 평균 증가액이 약 4조5천억원임을 고려하면 이보다 약 4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금융위도 증가세 둔화에도 증가액 절대 수준이 여전히 높다는 사실에는 공감하고 있다.

금융위는 "금리인하, 부동산경기 회복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가 본격화하기 이전인 2013∼2014년과 비교해서는 증가 규모가 여전히 높아 향후에도 면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pa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