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세그웨이·퀵보드' 개인형 이동수단 사고 4년새 3배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임애신 기자 = 세그웨이,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사고가 최근 4년 간 3배 이상 늘었다. 자동차보다 중상사고 비율이 높지만 이렇다 할 관리 수단이 없는 상황이다.

23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에 따르면 개인용 이동수단의 사고는 2012년 29건에서 지난해 137건으로 372.4% 급증했다.

사고 건수는 2014년 40건, 2015년 77건, 2016년 137건으로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다.

개인형 이동수단 사고를 자동차보험 사고의 상해 등급으로 분석한 결과 중상사고 비율이 10.8%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자동차보험 사고의 4배를 웃돈다.
아주경제

차세대 운송수단이 될 세그웨이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19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SK핸드볼경기장에서 열린 '서울 모빌리티 해커톤'에서 참가자들이 드론을 체험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환경, 교통 등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전기차와 드론에 접목해 제작하는 모빌리티 해커톤과 드론·세그웨이 등 차세대 운송수단을 경험해볼 수 있는 체험관으로 구성됐다. 2016.9.19 jin90@yna.co.kr/2016-09-19 15:58:48/ <저작권자 ⓒ 1980-2016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당 지급보험금 규모 역시 지난해 개인형 이동수단은 374만원으로, 자전거(244만원)보다 많았다.

개인형 이동수단의 사고는 주로 4~6월에 집중됐다. 야외활동을 하기 좋은 계절에 개인형 이동수단을 애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형 이동수단이 최근 대중화되면서 이처럼 사고가 늘고 있지만 아직 법률상 명확한 정의와 제재가 없는 상황이다. 해외에서는 주로 자전거도로를 이용하고 타인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임애신 seodw@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