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美, 다시 대북압박 강경 모드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특사 방미 전후 대화 모드서 전환

틸러슨 “北, 시각 바꾸지 않았다”

대북 제재 수위 강화 경고 메시지

국무부, 洪 특사 발언에 선 그어

文 정부 대화 모색 가능성 견제
한국일보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21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미사일 추가 도발을 강력 비난했다. 사진은 전 정권의 ‘전략적 인내’ 대북 정책을 비판하는 모습. 폭스뉴스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강력 비난하고, 외교ㆍ경제적 압박의 수위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문재인 정부 특사 방미를 전후해 북한과의 대화 재개 가능성을 높이던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21일 이뤄진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다시 대북 압박의 고삐를 강하게 죄는 모습이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이날 북한이 또다시 북극성 2형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과 관련,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북한에 핵ㆍ미사일 실험 중단을 요구해왔다. 이를 멈추지 않는다는 건 북한이 시각을 바꾸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북한이 미국의 대화 ‘시그널’을 사실상 무시한 채 핵보유국을 향한 행보를 늦추지 않자 제재 위주의 대북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틸러슨 장관은 또 “우리는 지금 초기단계의 외교ㆍ경제적 압박을 적용하고 있을 뿐”이라며 압박 수위 강화를 경고했다. ‘대북 압박 정책에 북한이 반응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도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군사적 대응을 거론하지 않았을 뿐, ‘최대 압박과 관여’를 원칙으로 한 트럼프 정부의 기존 대북정책을 방향 전환 없이 이어가겠다는 표현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강화를 위해 한국, 일본과 공동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23일 긴급 회의 소집을 요청한 상태다.

미국 내부에서는 이번 미사일이 고체연료를 장착해 발사 준비에 5분 밖에 걸리지 않았다는 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항공우주전문가를 인용, “북극성 2형이 기동성과 생존성, 대응성 면에서 이전 노동미사일 대비 훨씬 고도화된 만큼 이를 탐지ㆍ선제공격으로 파괴하는 것도 더욱 어려워졌다”고 우려했다.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멈추지 않자 미국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대북 대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한국 내부의 여론 흐름을 견제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된다.

이날 미 국무부는 운영예산을 전액 지원하는 ‘미국의소리’(VOA) 방송을 통해 최근 홍석현 대미 특사가 틸러슨 장관 면담 후 언급한 미국의 대북 유화정책 가능성을 일축했다. VOA는 홍 특사가 한국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틸러슨 장관이 북한 체제보장과 대화여건 등을 제시했다’는 보도를 소개한 뒤, 미 국무부에 관련 논평을 요청했더니 “미국 입장은 바뀌지 않았다”는 응답을 받았다고 전했다. ‘대북 ‘관여’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확인했다’는 홍 특사 발언에 대해서도, 국무부는 “사적인 외교대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워싱턴을 찾았던 대미 특사단 일행도 지난 17일 홍 특사와의 면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조건이 성사되면 평화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발언한 것에 한국 언론이 의미를 부여한 것이 적절치 않고 부담스럽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에 불구, 트럼프 정부의 대북 압박 기조는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워싱턴=조철환특파원 chcho@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