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SID 2017]눈여겨 볼 전시 제품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 디스플레이 기업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엔젤레스 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하는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디스플레이위크 2017'에서 첨단 기술과 신제품을 선보인다. 전시회 기간인 23일부터 25일까지 사흘간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티안마, E-잉크, 머크 등 세계적 기업이 자사 기술력을 알리는데 나선다.

올해 SID 디스플레이위크 전시회는 LG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티안마가 가장 큰 규모로 부스를 마련했다. 그 뒷 편에 BOE, 재팬디스플레이(JDI)가 전시 부스를 꾸몄다. 헨켈, 머크, 3M, DNP, E-잉크, 아사히글라스, 교세라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기업들도 자리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화면이 늘어나는(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무안경 3D OLED, 2250ppi급 초고해상도 LCD 등 기존에 공개한 적 없는 첨단 제품을 전시한다. 독보적인 디스플레이 기술 리더십과 자신감을 과시한다는 전략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화면이 늘어나는 9.1형 스트레처블 OLED를 처음 공개했다. 기존 플렉시블 OLED는 화면을 구부리거나 두루마리처럼 돌돌 감는 등 한 방향으로만 변형할 수 있지만 스트레처블 OLED는 두 방향 이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 전시 제품은 화면을 위에서 누르면 화면이 움푹 들어갔다가 다시 평평한 형태로 돌아온다. 최대 12㎜ 깊이로 화면이 늘어나면서 기존 화질은 유지한다.

5.09형 무안경 3D OLED도 공개했다. 명암비가 높아 LCD보다 더 자연스러운 입체 영상을 보여준다. 가상·증강현실(VR·AR)과 홀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1.96형 UHD 해상도 2250ppi(인치당 픽셀수) LCD도 선보였다. 1㎠ 화면에 78만개 화소를 집적해 5인치급 QHD(2560×1440)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5만개보다 15배나 많아 극사실적인 영상을 보여준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전자신문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23일(현지시간)부터 시작하는 SID 2017 전시회에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처음 공개한다.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플렉시블 OLED 위주로 전시 부스를 꾸며 시장 공략 방향을 제시한다. 모바일과 자동차 시장을 위한 룸미러 디스플레이, 투명 OLED 헤드업디스플레이(HUD), 투명 OLED와 LCD를 조합한 멀티레이어 계기판용 디스플레이, VR 제품 등 OLED와 LCD 제품군을 선보인다. 24인치급 풀HD 인터치 패널, 32인치급 8K UHD 등 IT 제품도 전시한다.

지난 CES에서 선보여 화제가 된 월페이퍼 OLED TV 패널과 크리스탈사운드올레드(CSO) 패널도 전시해 독보적인 대형 OLED TV 패널 기술을 과시한다.

전자신문

LG디스플레이의 65인치 UHD 크리스탈사운드올레드(CSO) 패널 (사진=전자신문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티안마는 SID 디스플레이위크 전시회에서 패널 기술력을 확실히 알리겠다는 각오다. 세계서 처음으로 피에조저항 인셀 방식의 포스 센싱 기능을 갖춘 5.5인치 풀HD 터치 액정표시장치(LCD) 디스플레이를 전시할 예정이다. 터치 패널과 피에조저항 포스 센서를 LCD에 완전히 통합한 것으로 터치 위치와 포스터치가 동시에 감지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 외에 응답속도를 높인 새로운 5.2인치 AMOLED 패널을 공개한다. 게임, POS와 ATM 기기를 위한 15인치 초박형 모듈 등 특화 시장용 고성능 LCD 패널과 모듈도 선보인다.

디스플레이용 첨단 유리를 공급하는 코닝은 처음으로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기업과 손잡고 대시보드 시제품을 공개한다. 스마트폰 강화유리 브랜드로 잘 알려진 '고릴라 글라스' 브랜드를 자동차 디자인용으로 접목했다. 특수 강화유리를 사용해 미려한 디자인과 감도 높은 새로운 터치 기능을 구현한 자동차 실내 디자인을 제시한다.

대만 E-잉크는 지난 CES에서 공개한 42인치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시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것으로 퍼블릭 인포메이션, 소매상, 교통 안내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적은 설치·운영비, 저전력 등이 강점인 안정적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재료기업 머크는 새로운 액정 응용 기술과 용액 형태의 잉크젯 프린티용 OLED 재료 기술을 공개한다. 구부리는 반경이 30㎜ 이하까지 가능한 유기 LCD 기술로 자동차 등 새로운 응용분야에 접목할 수 있음을 알린다. 인쇄 방식으로 개발한 OLED 잉크는 적색층과 그린층이 기존 진공증착 기술로 만든 것과 효율성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신문

머크가 제안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자동차 대시보드 디자인 (사진=머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외에 국내 기업들도 전시 부스를 꾸리고 세계 시장에 브랜드를 알리는데 나섰다. AP시스템, 코오롱인더스트리, 덕산네오룩스, 코코링크 등이 별도 부스를 꾸렸다.

로스엔젤레스(미국)=

배옥진 디스플레이 전문기자 witho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