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이셋코리아(http://www.estc.co.kr 대표 김남욱)는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새로운 악성코드가 발견됐다고 22일 밝혔다.

이셋 제품에 의해 'JS/Chromex.Submelius'로 진단되는 이번 트로이목마는 최근 남미 국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사용자의 브라우저를 또 다른 종류의 악성 콘텐츠가 포함된 특정 인터넷주소(URL)로 강제 이동시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웹 브라우저 중 하나인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가 주요 대상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인기 있는 웹사이트를 방문한 후 동영상 재생을 시작하는 경우 새로운 브라우저 창이 열리면서 다른 URL로의 이동을 요청하는데, 이 때 수락을 클릭하면 크롬 웹스토어에서 확장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안내한다.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수락하면 크롬 웹스토어에서 또 다른 확장 프로그램을 추가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게 된다. 동영상 재생이 시작됨과 동시에 브라우저는 악성 트로이목마에 감염되며, 처음 설치된 확장 프로그램이 방문한 웹 사이트의 모든 데이터를 읽고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을 브라우저의 확장 프로그램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방문할 때 특정 코드를 삽입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이후부터 사용자가 인터넷을 검색하는 중 삽입된 코드가 실행되면, 악성코드나 광고 또는 기타 악성 콘텐츠가 포함된 다른 웹 사이트로 이동하여 랜섬웨어 등 새로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등의 반복적인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지속적인 공격 행위가 가능해진다.

만약 이러한 악성 확장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 경우에는 크롬 브라우저에서 즉시 제거해야 한다. 검색 주소창에 'chrome : // extensions'을 입력 한 다음 해당 확장 프로그램을 찾아 삭제하면 된다.

김남욱 이셋코리아 대표는 '방문하는 모든 웹 사이트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특히 확장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신뢰할 수 있는 좋은 보안 솔루션을 사용해 최신 위협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