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반대, 사드반대' 기도 |
분주한 사드 작업 |
성주골프장 향하는 사드 장비들 |
퇴진행동 등 시민단체 성명 잇따라
"사드 도둑반입 결코 인정할 수 없어"
"사드배치 일종의 알박기…美 군사전략"
원불교 종교인들, 광화문 광장서 단식농성
보수단체 "사드배치 환영…남남갈등 안돼"
【서울=뉴시스】임종명 기자 = 시민단체가 27일 주한미군이 성주골프장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강행한 것과 관련, "한미당국이 합작해 사드 장비 반입을 위한 대국민 사기극을 펼친 것"이라고 이틀째 공세를 이어갔다.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장비 반입은 사드 부지 공여에 대한 한미간 합의 후 불과 6일만에 이뤄진 것"이라며 "공여 부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도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강행된 명백한 불법 조치"라고 주장했다.
퇴진행동은 "공여 부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도 마무리되지 않았고 기본설계와 시설공사는 시작조차 안한 상태에서 폭력적이고 기습적으로 사드 관련 장비들을 반입했다"면서 "대선시기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며 대선 후 검토가 거론되고 있는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도록 못박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퇴진행동은 "사드 장비의 반입이 얼마나 진척되든 사드 배치는 반드시 재검토·무효화돼야 한다"면서 "일방적이고 불법적인 사드 장비의 도둑 반입을 결코 인정할 수 없으며 불법 반입한 사드 장비들을 즉각 철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실련통일협회도 "대통령 선거가 보름여 남은 상황에서 사드배치를 강행하는 것은 차기 정부의 정책 판단의 여지를 완전히 막는 것으로 차기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막는 처사에 불과하다"며 "필요한 행정절차를 무시하면서까지 사드배치를 강행하는 것은 사드배치 결정을 되돌릴 수 없게 만드는 일종의 '알박기'와도 같다"고 밝혔다.
이들은 "사드를 선거에 이용하고자 하는 것처럼 비춰질 수 있다"며 "한미 정부 당국의 기습적인 사드배치 추진을 강력히 규탄하며 대선 전 사드배치 시험 운용·완료 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YMCA평화통일운동협의회 역시 "이 정부가 누구를 위한 정부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기습적이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국민의 주권을 짓밟은데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며 "사드배치는 북핵 대비용이 아니라 미국의 동북아시아 군사전략의 일환으로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한국은 단지 이를 위해 기지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대가로 한반도 위기의 증폭과 중국의 경제보복이라는 이중고를 떠안게 됐다"면서 "대한민국의 주권을 무시하고, 한반도 평화정착에 전면적으로 배치되는 사드배치를 결단코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원불교 종교인들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 인근에서 사드반대·전쟁반대·평화정착을 위한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원불교 강해윤 교무와 양명일 교무가 광화문광장 천막에서 무기한 단식농성을 시작했다.
이들은 하루에 세 번 각 100배씩 누적 1000만배를 목표로 평화기도를 올린다. 단식장에 오지 못한 교인이나 시민도 어디서든 동조 단식·기도로 참여할 수 있다.
원불교성주성지비상대책위원회는 "죽어도 여한이 없는 '사무여한'(死無餘恨)의 정신으로 가장 비폭력적이고 가장 결사적인 방식인 방식을 통해 전쟁을 반대하고 사드반입을 저지하겠다"며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소성리가 고립되지 않도록 무기한 단식 투쟁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반면 보수단체는 사드배치를 환영하며 소모적 남남갈등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국자유총연맹은 성명에서 "사드는 자체로 폭발력이 없으며 하강하는 적 미사일을 물리적으로 타격해 분해하는 방어체계로서 그 자체로는 결코 주변국을 위협하지 않는다"면서 "북핵 위기 앞에서 중국의 심기를 먼저 걱정하고 국가안보의 핵심 축인 한미동맹을 폄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jmstal01@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