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개 달하는 기존 앱 '통폐합'…위성호 행장 "온라인+오프라인 같은 채널로 봐야" 전략방향 제시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신한은행이 모바일 뱅킹 '슈퍼앱(가칭)' 제작에 돌입했다. 여러 개로 흩어져있던 애플리케이션(앱)을 한데 모으는 이른바 '원(One) 채널' 모바일 전략이다. 이르면 올해 상반기 내 출시한다는 목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연초 신설된 신한은행 디지털전략본부는 모바일 고객과의 접점을 슈퍼앱 중심으로 재편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슈퍼앱이란 오직 하나의 앱을 통해 총체적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그간 모바일 뱅킹을 통해 신규계좌 가입, 대출 등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서너개 이상의 앱을 일일이 설치해야만 했다.
신한은행은 우선 고객 기반이 가장 넓고 활용도가 높은 '신한S뱅크'를 중심으로 신한모바일승인, 신한온라인등기 등 기능별로 나뉘어져 있던 총 6개의 위성앱을 하나로 통폐합하기로 했다. 신한은행은 관련해 앱 명칭 변경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모바일 플랫폼 '써니뱅크' 역시 또 하나의 슈퍼앱으로 놓고 관련 위성앱을 한데 모은다.
신한은행이 이처럼 슈퍼앱 중심의 모바일 앱 통폐합 작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그간 출시된 앱이 너무 많다는 지적이 안팎에서 제기돼왔기 때문이다. 현재 신한은행이 제공하고 있는 모바일 앱은 총 20여개에 이른다. 신한은행 뿐 아니라 KB국민, 우리은행 등 대부분 시중은행들이 10여개 안팎의 앱을 출시해 운영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이 같은 지적을 수용, 내부 고민을 거쳐 '슈퍼앱' 전략으로 선회해 앱 수를 대폭 줄이기로 결정했다. 슈퍼앱 전략은 이미 네이버와 카카오 등 기업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 '네이버' 혹은 '카카오톡'이라는 단일된 앱을 통해 고객과의 최전선 접점을 형성, 총체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처음부터 의무적으로 여러 개의 앱을 깔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슈퍼앱을 통해 전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추가 앱에 대해서는 공급자가 아닌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주겠다는 뜻이다.
신한은행은 궁극적으로는 디지털은 물론 오프라인까지 하나의 단일된 채널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위성호 신한은행장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은 더 이상 서로 다른 세상이 아니다"며 "같은 채널로 바라보고 고객관점에서 제도, 상품 및 서비스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