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광주 재개발·재건축 추진 지역 45곳…아파트 공급 과잉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택공급률 103%·인구 감소세…지구단위 개발 미지수

"1인가구 등 소형 주택 정책 필요"

(광주=연합뉴스) 전승현 기자 = 광주지역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45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주택공급률이 100%를 넘어섰고 인구는 감소세여서 이들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면 아파트 물량 공급 과잉 논란도 예상된다.

27일 광주시와 LH 광주전남본부에 따르면 현재 지정·고시된 광주 재개발지역은 28곳, 재건축지역은 17곳이다.

재개발사업은 오래된 단독주택(단지)을 헐고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것이고, 재건축사업은 낡은 공동주택을 허물고 공동주택을 짓는 것이다.

연합뉴스

아파트 공급 과잉[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중 아파트 건설이 진행 중인 재개발지역은 6곳, 재건축지역은 1곳이다.

나머지는 조합설립인가,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인가 등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행정절차를 밟는 재개발·재건축지역에서 착공이 이뤄진다면 아파트 공급 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광주지역 주택공급률은 2015년 말 기준 103.5%에 달하고 인구도 2014년 149만2천명, 2015년 149만600여명, 2016년 148만9천여명으로 감소세여서 아파트 공급이 과잉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올해들어 매달 미분양 아파트 물량도 600∼800가구 있다.

여기에 LH 광주전남본부는 지구 단위개발(택지개발)을 통해 아파트를 공급한다는 방침이어서 개발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LH 광주전남본부 관계자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통한 아파트 공급은 학교, 교통 등의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며 "신규 택지가 확보된다면 금호, 상무, 봉선지구처럼 지구 단위개발을 추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지구 단위 개발을 추진할 마땅한 신규 택지가 없는 상황이고 아파트 공급 과잉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지구 단위개발이 성공할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오래전에 주택공급률이 100%를 넘어섰고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소형 아파트 위주의 건설 등 새로운 개념의 주택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hcho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