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미세먼지 몰려드나…中경기회복에 대기오염 겨울잠 깼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중국발 미세먼지 우려(PG)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중국 경제가 회복하자 대기오염도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7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의 대기오염은 작년 동기와 비교할 때 괄목할 수준으로 악화했다.

베이징을 둘러싼 산업지구인 허베이 성의 악화가 두드러졌다.

최근 수년간 경기둔화로 석탄, 철강 산업이 큰 타격을 받은 산시 성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무려 32%나 높아졌다.

이런 상황에서 경기순환과 대기오염의 상관관계가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18조68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보다 6.9% 늘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연합뉴스

올해 3월 20일 중국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서 마스크를 쓰고 보초를 서고 있는 중국 공안요원들.[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이 같은 성장률은 2015년 3분기 6.9%를 찍은 이후 18개월 만에 최고로 기록됐다.

중국 물가는 4년간 침체 뒤에 작년에 회복됐고 중국 철강소비도 2013년 정점을 찍은 뒤 3년간 줄다가 다시 늘었다.

그 사이 미세먼지 오염도는 같은 추세로 뛰어올랐다.

연합뉴스


올해 1월 중국 허베이성 싼허 옌지아오 대기오염 환경오염 미세먼지 안개 전경[EPA=연합뉴스 자료사진]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당국 자료를 인용해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수준(PM2.5)이 2014∼2016년 개선됐으나 작년에 재작년 수준으로 반등했다고 밝혔다.

FT는 이런 자료를 보면 지난 수년간 중국의 유해가스 배출이 정체된 이유가 정책적 노력보다 경기둔화에 있는 게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갑작스러운 공기질 악화가 공식 발표보다 훨씬 부진하던 경기가 이제 회복되는 조짐으로 단순히 해석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작년에 탄소 배출량을 1% 감축해 지구촌 배출량 증가세를 3년 연속 저지하는 데 힘을 보탰다.

베이징에 있는 그린피스 활동가 로리 밀리비르타는 "베이징의 대기오염이 크게 악화해 올해 목표를 달성하기는 벌써 산술적으로 틀렸다"고 말했다.

FT는 경제성장 속도가 높아질수록 중공업에 따른 대기오염이 심해진다는 일반론을 소개했다.

경기가 둔화하면 탄소배출이 많은 '더러운 석탄'을 많이 쓰는 영세기업들이 먼저 폐업하고 경기가 회복되면 이들 기업이 먼저 되살아난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실제로 올해 들어 대기오염이 급격히 심해진 산시, 허베이 성의 경우 석탄이나 석유 소비, 철강생산에서 최근 몇 년간 침체를 겪었다.

jangj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