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고1 진로학기제 도입, 학사개편 등 직업교육 강화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직업교육학회 '미래 직업교육의 방향' 주제 학술대회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미래 산업구조 변화에 대비해 고등학교 과정에 진로학기제, 인성학기제 등을 도입하고 직업교육 위주로 학사제도를 개편하는 등 직업교육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직업교육학회(회장 이광호 공주대 교수)는 26일 오후 1시30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미래변화 전망과 직업교육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정기 학술대회를 연다.

박동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평생직업교육센터장은 미리 배포한 주제발표문에서 창의적이고 숙련된 인재 양성을 위해 중등 및 직업교육 단계에서 학사제도를 개편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센터장은 "고교 단계에서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학생을 위해 직무숙련 기간(1∼3년)에 따라 학과를 개설해 학점제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며 "고1 과정은 진로탐색 및 체험학기제, 인성교육 학기제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센터장은 또 "고등교육 단계에서는 직무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을 선정해 2∼4년 과정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고, 재직 근로자 대상의 역량개발 과정, 중고령자 대상의 전직 교육과정 등도 운영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부처와 시도 교육청, 학교, 학생, 학부모, 기업 등 이해 당사자 간 협력적인 '직업교육 거버넌스'도 구축해야 한다고 박 센터장은 제안했다.

김진모 서울대 농산업교육과 교수도 주제발표문에서 "중장기적이고 일관된 정책 추진, 안정적인 재정 지원 마련을 위해 '중등 직업교육 정책 컨트롤 타워'를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조강연을 하는 이무근 서울대 명예교수는 "모든 학생이 직업현장에서 공통으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초·중등·고등교육 연계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며 "특히 100세 시대 인생 2모작을 위해 대학의 역할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박동열 센터장이 제안한 '미래 직업교육 추진방향과 6대 과제'



yy@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