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Health] 후손들에게 결핵 대물림 않도록 잠복결핵 검진 등 선제적 치료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우리나라가 경제선진국 대열에 진입한 지도 꽤 됐다. 또한 한국의 보건의료 수준 역시 선진국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은 유학이나 해외 방문 시 X선 촬영을 해야 입국이 허용될 만큼 몇몇 나라에서는 경계의 대상이다.

이유인즉슨 우리나라가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이후부터 지금까지 결핵 발생이나 사망이 최하위로, 결핵 발생이 많은 나라기 때문이다. 참 부끄럽고 안타까운 일이다. 현대의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천연두와 같은 전염병이 사라지고, 또 많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인류를 끈질기게 괴롭혀온 오래된 질병인 결핵은 아직 정복되지 못했다. 2015년 한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1000만명 이상의 결핵 환자가 발생했고, 180만명이 결핵으로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다. 우리나라 수도 서울의 인구가 1020만명이라고 하니 결코 가볍게 볼 질병이 아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심각한 결핵 문제에 비해 요즘 사람들에겐 잊힌 질병이 돼버렸다. 과거보단 풍족해진 오늘의 삶을 통해 과거 가난했던 시절을 잊듯 세월이 지날수록 결핵도 기억 속에서 잊히고 있다.

결핵 퇴치를 위해서는 먼저 결핵에 대한 인식을 바로잡는 노력이 필요하다.

보건당국에서는 2011년부터 지금까지 많은 예산을 투입해 학계·의료계와 협력해 결핵 퇴치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민간·공공협력사업(Private-Public Mix·PPM) 시행이나 일선 진료현장에 표준화된 치료 방법 등에 도움이 되는 결핵 진료지침을 발간하는 등 철저한 결핵 환자 관리를 위해 민간과 공공이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2013년에는 결핵역학조사반도 구성해 학교 등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좀처럼 줄지 않던 결핵이 2012년부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현재 보이는 결핵은 빙산의 일각이다. 전 세계는 물론 우리나라도 국민의 3분의 1 정도가 몸 안에 결핵균이 숨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잠복결핵에 감염된 사람이 꽤 많다는 의미다. 면역력이 저하되면 결핵으로 발병할 수 있어 후일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학교나 의료기관,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에서 결핵이 발생하면 문제는 더 심각하다. 지난해도 그렇고 최근 몇 년간 학교나 어린이집 등에서 결핵이 발생해 연일 언론을 통해 떠들썩했던 때가 많았다. 그래서 정부가 지난해 의료기관, 학교, 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종사자가 결핵과 잠복결핵 검진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법령을 정비하는 등 집단시설 결핵 관리에 대한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모양새다.

또한 이번 잠복결핵 검진과 치료는 모두 국가에서 무상 지원되며, 작년 7월부터는 결핵 환자가 민간·공공 구분 없이 모두 무료로 치료받을 수 있게 돼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게 됐다. 우리나라 결핵 퇴치를 위해서는 결핵 환자 조기 발견과 치료 등 철저한 관리와 함께 잠복결핵도 찾아 선제적으로 결핵 발병 전에 치료하는 것 또한 필요하겠다.

후진국 질병 결핵을 후손들에게 더 이상 대물림하지 말자. 정부와 학계, 의료계, 지역사회 모두가 공통의 인식을 갖고 힘을 합쳐 협력할 때다.

[김영균 서울성모병원 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