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13년 타계한 소설가 최인호는 2001년 한 일간지에 기고한 ‘사라지는 신문연재 소설’이라는 글에서 “신문은 가난한 작가들의 예술혼을 불태우게 했던 극장이자 무대였으며, 가난하고 천하였을 때 고락을 같이해 온 친구이자 술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으며 함께 고생해 왔던 부부 이상의 동반자였다”고 평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첫 신소설로 천도교 기관지인 만세보에 연재됐던 이인직의 ‘혈의루’(1906) 등 연재 소설의 역사를 좇는 ‘신문소설이 걸어온 길’과 ‘신문소설과 함께한 삽화’, 그리고 이광수의 무정, 정비석의 자유부인 등 장편소설의 산실로 기능한 ‘신문소설 깊이 알기’ 등 5개 테마로 구성됐다. 우리 첫 근대 장편소설인 ‘무정’의 경우 올해 매일신보 연재 100년을 기려 별도의 특별전인 ‘무정 100년, 근대문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동시에 열린다.
문학사·사회사적 영향을 살펴보는 신문소설 중에서는 1954년 서울신문에 연재된 ‘자유부인’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6·25전쟁 직후 사회 풍조 변화를 다룬 당대 최고의 인기소설이자 논쟁작으로, 신문소설 중 가장 성공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시 기간 중 정이현(5월 13일), 김선우(5월 27일), 김영하(6월 3일) 등 작가와 독자가 연재소설에 대해 이야기하는 문학콘서트 행사도 마련됐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신문 간행 이후 연재소설은 특별한 읽을거리였고, 대중문화 발전을 견인해 왔다”며 “신문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우리 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