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KT '교동 기가 아일랜드' 평화·통일의 관광섬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첨부/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강화 교동도가 KT의 기가 인프라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만나 서해의 새로운 여행 명소로 거듭난다.

KT는 28일 인천 강화군 교동도에서 다섯 번째 기가 스토리, '교동 기가 아일랜드'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KT는 행정자치부, 통일부, 인천광역시, 강화군, 인천관광공사와 함께 휴전선 접경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지역 활성화 다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기가 스토리'는 기가 네트워크 기반에 IT솔루션을 적용해 도서·산간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KT의 공유가치창출(CSV) 프로젝트다. 2014년 전남 신안군 임자도(기가 아일랜드)를 시작으로 비무장지대 대성동마을(기가 스쿨), 백령도(기가 아일랜드), 청학동(기가 창조마을)에 구축됐다.

강화도 북서쪽에 위치한 교동도는 거리상 서울에서 멀지 않음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섬이다. 조선시대에는 반정으로 쫓겨난 연산군, 광해군의 유배지였으며, 한국전쟁 이후에는 휴전선 접경지역으로 민간인의 출입이 쉽지 않아 발전이 더뎠다. 이 때문인지 교동도의 대표적 번화가로 꼽히는 대룡시장은 아직까지도 1960~70년대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KT는 행자부, 강화군과 협력해 교동도 관광의 거점으로 교동제비집(기가하우스)을 구축했다. 교동제비집은 제비가 북한지역인 황해도 연백평야의 흙으로 교동도에 집을 짓는다 라는 지역 스토리를 담고 있다.

교동제비집은 IT 기반의 편리한 관광안내는 물론 자전거 여행을 즐기며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스마트워치 대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교동제비집에서는 교동도의 관광명소를 360도로 볼 수 있는 VR영상 체험, 관광객이 자신의 사진과 마음에 드는 콘텐츠를 선택해 스토리를 제작하는 '교동신문'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KT는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 통일부 등과 협력해 통일의 염원이 담긴 관광콘텐츠를 교동제비집에 준비했다. 교동제비집에서는 북한 황해도 지역의 풍경을 CCTV를 통해 560인치 초대형 스크린으로 만날 수 있다.

통일의 염원을 담아 IT 기술을 통해 남한의 교동도와 북한의 연백평야를 잇는 가상의 다리를 축조하는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미디어 테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이 프로그램은 방문객의 얼굴 사진이 새겨진 벽돌이 가상의 다리 위에 올려지는 방식으로 평화의 다리(Virtual Peace Bridge)를 만들어 간다.

KT는 교동도의 유일한 시장인 대룡시장 골목길 활성화에도 나섰다. 1960~70년대 시장 모습을 간직한 대룡시장에 '교동스튜디오'를 구축해 시장 안내와 함께 과거로 떠나는 추억 여행을 선사한다.

더불어 KT는 교동도에 홀로 거주하는 노년층 30가구를 선정해 실버케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전력 사용이 아예 없거나 전력 사용량이 평소와 다를 경우 교동면사무소 복지담당에게 자동으로 알려준다.

농가환경 개선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해 스마트팜 시스템도 지원한다. 복합 환경제어 ICT 시스템을 통해 온도와 습도, 강우량, 풍속, CO2 농도 등 환경변수를 자동 측정하고, 임계치 데이터에 따라 관수, 환풍, 차광 등을 자동 제어한다.

또한 지향성 와이파이(Wi-Fi)와 수위감지 센서를 이용한 지하수 모터제어를 통해 물이 부족할 경우 자동으로 물을 끌어올 수 있도록 농사 환경을 개선했다.

KTsms 강화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해 교동도 농가에서 전국 영농 전문가들에게 실시간 양방향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화상회의 시스템도 도입했다.

윤종진 KT 홍보실장은 "교동도는 서울에서 가깝지만 심리적으로는 멀게만 느껴지는 낙도였다"며 "KT가 정부, 지자체와 힘을 합쳐 준비한 다섯 번째 기가 스토리가 교동도 주민들에게 '평화와 통일의 관광섬'을 일구는 내일을 제공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odong85@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