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바른정당 오늘 대선후보 확정, 단일화 좁은 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당 합의 까다로운데다 18일 보조금 받아야 해 시한 촉박

CBS노컷뉴스 유동근 기자

노컷뉴스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 (사진=자료사진)


바른정당은 28일 대선 후보자 선출대회를 열고 최종 주자를 확정한다. 현재 판세로는 유승민 의원이 남경필 경기지사와 승부에서 승기를 잡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유 의원 입장에선 경선에서 승리하더라도 본선까지 가시밭길이 기다리고 있다. 자신과 당 지지율이 동반 침체돼 있어 동시에 끌어올려야 하는 것이 급선무다.

만약 지지율을 유의미한 수치로 상승시키지 못할 경우 국민의당 유력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와 자유한국당 홍준표 경남지사에게 힘을 실어주자는 요구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호남경선에서 문재인 전 대표가 압승을 거두면서 ‘반(反)문재인 연대’ 필요성도 커졌다.

하지만 당 안팎의 조건은 단일화에 참여하는 것조차 여의치 않은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일단 각종 여론조사에서 안 전 대표에게 큰 폭으로 뒤지고 있는 점이 문제다.

MBN·매일경제 의뢰로 리얼미터에 의뢰해 27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바른정당의 지지율은 4.9%, 유 의원은 2.2%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안 전 대표는 12.6%, 홍 지사는 9.5%를 받았다.(인용된 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바른정당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지지율이 이어지면 국민의당에 단일화를 제안하기도 쉽지 않을 것 같다”고 관측했다. 어느 정도 비슷한 수준으로 경쟁이 돼야 상대방도 컨벤션 효과를 노리고 경선에 들어올 텐데 지금 수준으로는 협상에 끌어들일 유인이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상대적으로 격차가 적은 홍 전 대표와의 선(先) 단일화 요구가 나오는 배경이다.

국민의당과는 안보관이 다른 점도 걸림돌이다. 유 의원은 국민의당이 당론으로 사드(THAAD)에 반대하는 입장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한국당과는 내년 지방선거 전 합당까지 염두에 두고 있어 후보 단일화 필요성이 큰 상황이다. 홍 지사도 최근 당내 경선 과정에서 "우파 대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거듭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당과는 친박(親朴) 청산 문제가 협상의 난관으로 작용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찬성으로 새누리당에서 갈라져 나온 바른정당으로선 한국당에 잔류 중인 '진박 5적' 출당 없인 연대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3당의 얽히고설킨 이해관계가 어렵사리 조율된다고 하더라도 후보 단일화를 합의하기까지 시한이 매우 촉박하다.

돈이 걸려있기 때문이다. 각 당은 오는 17~18일로 예정된 정부 측의 선거보조금 지급을 기다리고 있다. 400여 억원가량으로 예상되는 금액을 원내 의석수에 비례해 배분받는데 바른정당에는 60억원 정도가 할당될 것으로 추정된다.

원칙대로면 오는 16일 마감되는 후보등록 직전까지 후보 단일화 협상을 완료하고, 출마하지 않을 후보의 경우 선거보조금을 받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창당 이후 금전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바른정당 내부에선 일단 보조금을 수령하자는 기류가 흐른다. 유 의원 입장에선 18일까진 후보직을 사퇴하기 어려운 조건 때문에 협상에 나서기도 어렵다는 얘기다.

따라서 본격적인 후보 단일화 협상은 오는 18일부터 재외국민 투표용지 인쇄 시점인 23일 사이 5일간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3당이 복잡한 방정식을 풀기엔 여의치 않은 시간이다. 때문에 단계별 경선 대신 각 당 주자를 한 번에 경쟁시키는 '원샷 경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치권에선 투표용지 인쇄 이후 사퇴하는 상황까지 가정할 경우 다음달 5일까지도 막판 단일화 협상이 가능하다는 기류가 흐르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보조금만 받고 후보직은 사퇴한 데 대한 ‘먹튀’ 비판을 피할 수 없다.

협상조건도 까다로운데다 시간마저 여의치 않자, 바른정당의 내부에는 "이럴 바에야 무리하게 단일화에 집착하지 말고 독자출마로 가자"는 기류가 생겨나고 있다.

특히 당내 개헌파들은 대선 직후 다당제가 내각제를 추동할 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대선 때의 다자구도와 선거 직후 원내 4당 체제를 선호하는 흐름마저 감지된다. 민주당과의 1대 1 구도를 만드는 데 실패할 경우 대선에서 패배하더라도 이후 내각제에 기반을 둔 분권형 개헌을 끝까지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