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드러난 대선 4강 윤곽…문재인·안철수·홍준표·유승민 유력 시

댓글 6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당원에게 인사하는 문재인


뉴시스

안철수, 전북 완전국민경선 연설


뉴시스

취재진 질문 답변하는 홍준표 지사


뉴시스

조계사 찾은 유승민 의원


文, 12주 연속 여론조사 1위 유지

安, 호남경선 압승
洪, 당내 유일의 지지율 10%선
劉, 정책토론회 4전 4승

【서울=뉴시스】정윤아 기자 =4당 대선후보들이 사실상 결정되는 '수퍼위크(super week)'가 27일부터 시작됐지만, 정치권에선 이미 각 당의 주요 주자별 우위가 현저하게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문재인 전 대표 대세론을 굳혀가는 모양새다. 최대 승부처 호남에서 이날 열린 첫 순회경선에서 문 전 대표는 60.2%의 득표율을 나타내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문 전 대표는 그간 모든 여론조사에서도 지지율 1위를 공고하게 유지해왔다. 문 전 대표는 이날 MBN·매일경제의 의뢰로 리얼미터가 조사해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도 34.4%로, 2위인 안희정 충남지사와의 지지율 격차를 두 배 이상 유지하면서 1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참조)

여기에 호남 경선에서 대세론을 확인하며 압승을 거뒀다는 점에서 문 전 대표의 후보 확정까지 8부 능선을 넘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 대선후보인 안철수 전 공동대표는 광주·전남·제주권역에 이어 26일 치러진 전북권역 현장·투표소 투표에서도 과반을 획득하며 압승을 거뒀다. 안 전 대표는 호남경선에서 총투표 9만2,823표 중 5만9,731표(64.60%)를 획득했다. 호남 출신 당원 규모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국민의당 대선 후보로 안 전 대표가 유력한 상태다.

물론 남은 지역과 여론조사도 남아있지만 오히려 안 전 대표와 다른 후보들 간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박주선 국회부의장이 중도하차하는 것이 아니냐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자유한국당은 홍준표 경남지사와 친박 김진태 의원 간의 싸움이 유지되고 있지만 지지율면에서 홍 지사가 김 의원을 훨씬 앞서고 있다. 홍 지사는 이번 여론조사에서 9.5%를 기록하며 당내 주자 중 유일하게 10%선에 육박했다. 김 의원은 5.0%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의 지지층이 대부분 골수 친박성향이라는 점에서 표의 확장성 역시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또 지난번 자유한국당 1차 예비 경선(컷오프)에서도 홍 지사는 혼자 과반에 육박하는 46%를 득표, 1위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태, 김관용, 이인제 등 타 후보를 큰 격차로 따돌린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대로라면 홍 지사의 후보 당선이 유력한 상황이다.

바른정당은 유승민 의원이 대선후보 경선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국민정책평가에서 4연승을 차지하며 사실상 승부가 갈렸다는 평가다. 유 의원은 호남권(광주), 영남권(부산), 충청권(대전), 수도권(서울) 등 4개 권역에서 열린 정책토론회 직후 진행된 국민정책평가단 투표에서 4전 4승의 압승을 거뒀다. 득표율에 있어서도 4,000명의 정책평가단 중 총 2,689명이 투표한 가운데 유 의원이 1,607명(59.7%)를 얻어 남경필 경기지사(1,082명 40.2%)를 크게 앞섰다

남 지사는 총 40%가 반영되는 국민정책평가단에서 전패 한 만큼 남은 당원선거인단 투표(30%)와 일반 국민여론조사(30%)에서 크게 앞서야 하지만 27일 경선절차가 마무리되는 만큼 막판 뒤집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30%가 반영되는 일반국민 여론조사의 경우에도 각종 여론조사에서 유 의원의 지지율이 남 지사보다 높게 나오고 있어 정치권에서는 유 의원이 '바른정당 대선후보'로의 8부 능선은 넘지 않았느냐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한편 바른정당은 28일 서울 올림픽경기장에서 대통령 후보자 선출대회를 열고 대통령 후보자를 최종 결정한다. 4당 중 가장 먼저 대선후보를 확정하는 것이다.

yoona@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