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청사 나오는 박근혜 전 대통령 - 14시간 동안의 피의자 조사와 밤샘 조서열람 및 검토를 마친 박근혜 전 대통령이 22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청사를 나서고 있다2017.3.22 사진공동취재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7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의 사전 구속영장 청구에 정치권과 대선주자들의 반응에는 확연한 온도차가 드러났다.
야권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당연한 결정”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범보수 진영인 자유한국당은 유감 표명과 함께 법원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했다. 바른정당은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날 민주당 대선주자인 문재인 전 대표 측 박광온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박 전 대통령은 13건의 범죄 혐의가 있고 공범들은 모두 구속된 상태”라며 “국민의 바람과 법 감정에 충실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같은 당 대선주자인 안희정 충남도지사 측 강훈식 대변인도 논평에서 “사필귀정으로, 상식적이고 당연한 결정”이라면서 “법과 정의의 원칙에 따른 검찰의 결정을 존중하고, 국정농단의 몸통인 박 전 대통령 구속수사는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같은 당 대선주자인 이재명 성남시장 측 김병욱 의원은 논평에서 “사필귀정”이라며 “대한민국 적폐청산의 첫 단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대선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구속영장 청구는 박 전 대통령이 자초한 일”이라며 “박 전 대통령이 혐의를 부인하고 진실을 숨기려 한다면 검찰과 법원은 국민이 진실을 알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고 썼다.
국민의당 대선주자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측 김유정 대변인은 입장문에서 “영장청구는 당연한 귀결이고 상식”이라고 말했다.
박주선 국회부의장 측 강연재 대변인은 입장문에서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는 헌법 제11조에 따라 내린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자유한국당 주자들은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김진태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궁궐에서 쫓겨나 사저에서 눈물로 지새는 여인에게 사약을 내리는 격”이라면서 “이번 탄핵사건 때문에 상심한 국민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 있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탄핵 돼서 사저로 돌아온 대통령에게 너무 가혹하다”며 “사법부가 현명한 판단을 하리라 본다”고 밝혔다.
이인제 전 최고위원은 “박 전 대통령은 사실상 연금 상태”라며 국가 이미지를 거론하면서 “국가이익을 위해서도 지혜로운 처사가 아니다. 법원에서 신중하게 영장을 기각해달라”고 말했다.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아마 검찰이 문재인 대선 가도에 박 전 대통령을 구속하는 것이 도움되지 않느냐는 판단으로 영장을 청구한 것 같다”며 “법원에서 맑은 눈으로 구속 여부에 대해 바른 결정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불구속 수사와 불구속 기소를 주장해온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검찰의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국론분열을 막고 국민통합을 위해 불구속 수사 및 불구속 기소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박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국민 앞에 사죄해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각 당도 대선주자들과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역사적인 결정이며,법과 원칙에 따른 당연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한국당 김성원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검찰이 법과 원칙에 따라 결정한 것으로 이해한다”면서도 “불구속 수사를 바라고 있는 우리 당으로서는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국민의당 장진영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의 공범들이 죄다 구속된 마당에 박 전 대통령 구속은 사필귀정”이라고 말했다.
바른정당 오신환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대통령 구속이라는 역사적 아픔이 되풀이되는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면서도 “법과 원칙 앞에 누구도 예외일 수 없다는 자유민주주의 정신을 되새기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