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2 (화)

‘빅데이터의 힘’…복지소외계층 지원 성과 10% UP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전북 군산시에 사는 A씨는 혈액 투석과 노인성 질환으로 건강이 극도로 악화된데다 관리비를 4개월이나 체납했다. 혈액투석으로 일반근로가 어려워 소득이 없었지만 자녀의 소득 때문에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도 되지못했다. 하지만 빅데이터 조회를 통해 관리비 체납사실이 파악되면서 의료위기 및 주거위기 가구로 방문상담 대상이 되면서 모든게 달라졌다. 주민센터 맞춤형복지팀에서 약물ㆍ투석관리 모니터링, 긴급생계비 지원, 민간기부금, 노인일자리 등을 알아봐줘 형편이 풀렸다.

이처럼 빅데이터 시스템 등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복지소외 계층 발굴·지원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복지소외계층 발굴이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활용이 복지정책부문에서도 성과를 톡톡히 내고 있는 셈이다,

헤럴드경제

보건복지부는 24일 작년 11월21일부터 올해 2월28일까지 겨율철 3개월 간 전국 지방자치단체ㆍ지역 복지단체와 함께 ‘동절기 복지사각지대 집중 발굴기간’을 운영해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 34만3000명에 대해 긴급생계비 등 복지 지원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16만5000명은 소득ㆍ재산 조사 등 지원절차 진행 중이다.

이번 집중 발굴기간을 통해 3만8000명에게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지원, 에너지바우처 등 공공 복지급여를 신규로 지원했고, 31만8000명에게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에서 지원되는 후원금, 푸드뱅크 등의 기부식품, 그 밖에 민간 후원물품 등이 연계 제공됐다. 공공 복지급여 및 민간 복지자원은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

특히, 올해 지원실적은 34만3000명으로 전년도(31만1000명) 대비 10% 증가된 것으로, 이는 읍면동 복지허브화(전국 1094개, 2016년12월 기준)와 사회보험료 체납, 단전ㆍ단수 등 13개 공공기관 보유 23종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빅데이터를 통한 고위험가구 예측시스템’에 힘입은 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맞춤형 복지급여 개편 등 복지재정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독거가구 및 위기가구 등 복지 사각지대에서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사례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생활비 부담이 높고 일자리가 부족한 동절기에는 위기가구의 위험이 더 높아져 특별한 관심과 적극적인 보호가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에 시군구 및 읍면동의 사회복지공무원은 지역 주민과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복지 통ㆍ이장, 민간단체, 좋은이웃들 등 유관단체와 협력해 적극적으로 취약계층을 찾아냈으며, 찾아낸 복지 대상자들에게는 사례관리를 통해 공적급여는 물론 연계 가능한 지역의 민간 복지자원을 최대한 연결해 지원했다.

정진엽 복지부장관은 “2018년까지 전국 모든 읍면동(3502개소)를 복지허브화하고,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 및 예측 정확도를 높여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상시화해 나갈 것”이라 하면서, “국민들께서도 주변에 도움이 필요하거나, 어려운 이웃이 있으면 언제든 복지로(www.bokjiro.go.kr), 129콜센터 또는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dewkim@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