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벼락치기' 경선에 불공정 후유증…장미대선 경선 관리 비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장미대선 D-46] 민주당 경선 사고에 너도나도 '비상'

사전 투표 결과, 비공개 여론조사 결과 SNS로 급속 유출

아시아투데이

22일 오후 서울시의회 서소문 별관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투표소에서 개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각 시·군·구 전국 250개 투표소에서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현장투표를 진행했다. / 사진 = 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손지은 기자 = 예년보다 턱없이 짧은 기간에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게 된 주요 정당들에 ‘경선 사고’ 비상등이 켜졌다. 대선 5~6개월 전 최종 후보를 선출했던 과거와 달리 50여 일의 기간 안에 경선과 본선을 모두 치러야 하는 ‘벼락치기’ 대선에 사고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경선이 곧 본선’이라는 말이 나오던 더불어민주당은 214만 명에 달하는 역대 최다 선거인단 모집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던 중 결국 사고가 터졌다. 22일 전국 동시 투표소에서 실시된 현장 투표의 일부 결과가 사전에 유출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타고 급속도로 퍼졌다. 이에 민주당은 23일 진상조사위원회까지 꾸리고 형사고발 등 강력 조치를 취하겠다는 방침도 세웠지만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경선 당사자인 이재명 성남지사 캠프는 홍재형 당 선관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이날 광주 일정 중 기자들과 만나 “후보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지 않겠다”면서도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민주당의 사전 유출 사태가 불거지자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은 한목소리로 민주당을 향해 맹비난을 쏟아냈다.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는 “한마디로 예고된 참사도 막지 못한 준비 안 된 세력”이라고 꼬집었다. 바른정당은 안 지사의 페이스북 표현을 빌려 “갈수록 정 떨어지는 친문(친문재인) 패권주의”라고도 했다. 하지만 3당 모두 “남의 얘기가 아니다”며 혹시 모를 경선 사고에 대비해 단속에 나섰다.

현장 투표를 이틀 앞둔 국민의당은 이미 경선룰 협상 과정에서 안철수·손학규 후보가 현장 관리 문제를 두고 한바탕 진통을 치른 터라 더욱 비상이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전 선거인단 없는 현장 투표’를 시도하는 만큼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적지 않다. 박지원 대표가 이날 “저도 민주당 사태를 보고 타산지석으로 생각해서 이거 잘해야 하는데 큰일”이라는 속내를 드러낸 것도 이 같은 우려를 방증한다.

한국당도 이미 지난 18일 1차 컷오프에서 비공개 여론조사 순위와 득표율이 유출됐다. 실제로 2위를 차지한 A후보가 1위를 했다는 ‘가짜뉴스’까지 SNS에 나돌아 당이 진상조사에 나섰다. 한국당 관계자는 “경선 잡음은 역대 선거에서도 늘 있었지만 지난해 4·13 총선부터 확산 속도가 역대 선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며 “SNS를 통해 퍼지는 속도는 도저히 감당이 안 될 정도”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전문가들은 당내 경선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다. 신율 명지대 교수(정치학)는 “경선 규모도 경쟁적으로 커지고 모바일 투표 같은 경우는 거의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방식”이라며 “부작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이것은 각 당의 경선 관리 능력보다도 사람을 동원하고 참관하는 방식에서 오는 구조적 문제”라며 “중앙선관위도 당의 요청이 없으면 개입할 수 없는 한계도 있다”고 지적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