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3 (수)

[맨 인 컬처]“아낌없이 펑펑” 쌈짓돈 몇만원으로 즐기는 탕진의 행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탕진잼’을 아십니까

동아일보

1000원으로 각종 문구류와 생활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다이소 매장(위 사진)은 탕진재머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이들은 인형 뽑기(아래 왼쪽 사진)나 간식, 문구류 등을 많이 구매한 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탕진잼’이라는 반어적인 표현과 함께 사진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 동아일보DB·인스타그램 화면 캡처


“F=ma(힘=질량×가속도)니까 중력과 마찰력을 고려한 뒤, 삼각측량법으로 계산하면….”

대기오염 세계 2위란 ‘쾌거’가 전해진 날. 골방에 틀어박힌 에이전트2(정양환)는 뭔가를 끼적거리며 머리를 싸매고 있었다. 아무리 불러도 대답이 없자, 요원7(임희윤)과 26(유원모)은 문을 벌컥 열어젖히고 따져 물었다.

“으응? 심, 심오한 물리학의 세계에 취해 있었다네.”

“근데…, 뒤춤에 숨긴 건 뭐죠?”

재빨리 종이 한 장을 낚아챈 26. 넘겨받은 요원7은 얼굴빛이 달라졌다.

“요새 ‘인형 뽑기’ 하느라 코빼기도 안 보였던 거요? ‘탕진잼’에 빠졌구먼.”

오호통재라. 탕진잼은 또 뭐기에 외계요원마저. 혹시 한때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며 ‘악마의 잼’으로 불린 누텔라의 부활인가. 위기감을 느낀 에이전트26은 2의 뒷덜미를 질질 끌고 곧장 수사에 착수했다.

○ 아낌없이 펑펑 써라, 단 3만 원 이하로

“최근 자신의 행복과 만족을 위해 가진 돈을 다 써 버리며 재미를 찾는다는 뜻의 ‘탕진잼’(탕진 재미)이란 말이 유행이다.”(▶ 동아일보 9일자 B6면)

탕진(蕩盡)이라…. 그 옛날 동화책에서나 접하던 단어가 21세기에 인기라니. 일단 여론조사업체 엠브레인의 도움을 얻어 탕진잼의 실체부터 파악해 봤다.

동아일보

10∼30대 남녀 600명에게 모바일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49%가 탕진잼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한국 청년층 둘 중 하나는 해본 적이 있다는 소리다. 경험자로 범위를 좁혔더니 20.3%는 ‘최소 주 1회 이상’ 탕진잼을 맛보고 있었다. ‘주 3회 이상’도 4.2%나 됐다.

동아일보

탕진잼을 즐기는 분야(복수 응답)는 무척 다양했다. 남녀 모두 먹는 걸(71.3%)로 돈 써본 경험이 가장 많은 가운데, 여성은 의류(66.7%)와 미용(57.1%)이 뒤를 이었다. 남성은 전 분야가 엇비슷했으나, 최근 번화가에 급속도로 늘어난 ‘인형 뽑기방’(27.1%)을 즐기는 비율이 여성(17.9%)보다 훨씬 높았다.

에이전트26이 만난 금융사 직원 이모 씨(31)도 1주일에 두세 번씩 인형 뽑기방을 찾는 덕후. 지난 3개월 동안 50만 원 이상 썼다. 하도 갔더니 알바생이 공짜로 횟수도 늘려주고 대신 뽑아준 적도 있단다. 그는 왜 이런 탕진잼에 빠졌을까.

“직장인이 스트레스 풀 방법이 별로 없잖습니까. 술 먹는 것도 지겹고. 우연히 해봤는데 어릴 때가 떠오르고 좋더라고요. 게다가 2만∼3만 원어치 동전 쌓아놓고 딱 하면 라스베이거스에 간 느낌이랄까, 하하. 어차피 월급 사정 뻔하니까 기분 한번 내는 거죠.”

실제 설문조사에서도 그들의 탕진은 탕진이라 하기도 멋쩍었다. 1번에 ‘3만 원 이하’가 48.3%였다. 그저 주머니에 가진 돈 털어 흥 한번 내는 찰나의 만족. 그들은 그걸 스스로 탕진이라 부르고 있었다.

○ 거친 생각과 불안한 미래와 그걸 지켜보는 너

왜 요즘 젊은이들은 이렇게 탕진잼을 좋아할까.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욜로(YOLO·You Only Live Once)족과 탕진재머(탕진잼을 즐기는 사람)는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둘 다 불확실한 미래보단 현재의 만족을 지향하는 공통점은 있죠. 허나 해외에서 들어온 개념인 욜로는 어느 정도 경제적 기반이 있는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과소비를 추구하는 삶입니다. 반면 탕진잼은 장기 불황에 청년 실업난이 겹친 한국적 상황이 반영된 거예요. 쌈짓돈 쓴 것도 탕진이라 부르는 일종의 반어법이죠. 청년세대의 박탈감이 깊게 깔려있다고 봐야 합니다.”

문구점에서 필기구 등 사무용품을 사며 탕진잼을 즐긴다는 서모 씨(28·여)도 비슷한 얘기를 들려줬다. 그는 “1주일에 최소 한 번씩 가는데 적은 비용으로 큰 만족을 얻는 기쁨이 너무 크다”며 “부담스럽지 않은 범위에서 자기 위안을 삼는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설문조사도 왠지 모를 서글픔이 묻어났다. 탕진잼을 즐기는 이유로 ‘현재나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30.1%)라거나 ‘어차피 돈이 모이지도 않으니 아낌없이 쓰고 싶다’(14.0%)는 응답이 적지 않았다. 더 안타까운 건 겨우 ‘몇만 원의 사치’를 부린 것임에도 ‘탕진잼을 벌인 뒤 후회가 밀려온다’(23.8%)는 이들이 상당하다는 점이다.

그런 줄도 모르고…. 에이전트26은 그제야 잡았던 요원2의 뒷덜미를 놓았다. 나름 거기서 위안을 찾는지도 모르고. 26은 따뜻한 눈길로 2를 일으켜 세웠다.

“뽑기가 그리 재밌어요? 그간 인형은 얼마나 모았는데요?”

“어…, 자취방에 200개쯤? 근데 월급 가불한 거 다 썼는데 돈 좀 꿔줘라.”

그래, 선배를 위해 뭐가 아까우랴. 얼른 병원에 방 하나 잡아야겠다.(다음 회에 계속)

정양환 ray@donga.com·유원모 기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