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농진청, 반려동물 사료제조 프로그램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반려동물을 위한 전시회


【세종=뉴시스】우은식 기자 = 일반인들도 개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 사료를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펫팸(pet family) 1000만 시대를 맞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로 사료를 만들 수 있는 반려동물 전용 집밥 만들기 웹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애견카페나 중·소규모 반려동물 사료 업체 등에서 이 프로그램을 활용해 사료를 제조한다면, 신제품 개발을 통해 주문형 사료시장에 바로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입 브랜드 비중이 큰 국내 사료시장에 국산 제품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정에서 활용할 경우 수시로 제조해 신선한 상태의 사료를 영양학적으로 정밀하게 배합·제조해 먹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농축산물과 수산물 등 농촌진흥청이 엄선한 식품 307종 축산물(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등 89종), 수산물(멸치, 명태 등 26종), 농산물(쌀, 고구마, 감자 등 133종), 부산물(돼지 간, 폐 등 56종)과 이들 식품의 단백질, 지방, 칼슘 등 17가지 영양성분 자료틀(데이터베이스)을 기반으로 설계했다.

이용자가 프로그램에 접속해 동물(개·고양이) 품종과 성장·활동 단계, 체중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원료를 선택하면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사료 배합비율과 급여량 정보를 제공한다.

식품 가격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도 영양소와 에너지 함량을 맞춘 고품질의 식단을 짤 수도 있다.

반려동물 산업 시장규모는 2012년 9000억 원에서 2015년 1조 8000억원으로 2배나 커졌다. 이 가운데 사료시장은 30% 내외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으나, 프리미엄 사료시장의 경우 수입 브랜드가 70% 이상 점유하고 있다.

농진청 최유림 축산생명환경부장은 "반려동물 사료의 고급화 바람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번에 개발한 프로그램이 국내 사료시장의 고급화에 대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고, 수제사료의 신뢰도향상에도 기여해 국산 사료 자급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eswoo@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