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홈앤쇼핑 모바일 쇼핑 진화 거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홈앤쇼핑의 스마트쇼핑이 진화하고 있다.

2013년 첫 선을 보인 홈앤쇼핑의 모바일앱 서비스는 큐레이션 서비스와 간편결제 서비스 '팡팡페이' 도입과 더불어 비디오커머스 '길어야 1분' 신설 및 네이버 로그인 회원가입 서비스를 도입해 고객의 이용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홈앤쇼핑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지난 연말, 구글플레이스토어 총 사용자 설치수에서 1000만을 돌파한데 이어 순이용자수에서도 업계 1위를 수성하며 양적 .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21일 웹사이트 순위 분석업체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홈앤쇼핑 모바일 앱은 2015년 5월 3째 주부터 94주 연속으로 홈쇼핑 앱 부문 순이용자수 1위를 지키고 있으며, 2017년 2월 월간지표에서는 처음으로 전체 커머스사 앱 부문에서 옥션을 제치고 종합 순위 6위를 달성했다.

■빅데이터 활용 맞춤상품 추천하는 큐레이션 서비스 도입
기존의 큐레이션 서비스는 대부분 과거 구매이력 등 고객 행동에 기반한 분석 또는 추천에 그쳤다.

하지만 홈앤쇼핑의 큐레이션 서비스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해 각 고객의 라이프스탈이나 선호도 등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 △직접 본 상품 △관련이 있는 상품 △관심이 있을 것 같은 상품들을 추천·제안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홈앤쇼핑 앱을 방문한 고객들은 매일 새로운 상품들을 만날 수 있다.

홈앤쇼핑 측은 큐레이션 서비스를 단순 마케팅이나 이벤트가 아닌 고객들의 지속적 방문 및 재방문을 확대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VOD컨텐츠를 활용한 '길어야 1분' 비디오커머스 전용 매장 오픈
홈앤쇼핑은 은행계좌 등록만으로 결제가 가능한 '팡팡페이' 서비스를 시행중이다.

최초 1회 본인명의 은행통장 계좌를 등록하면 고객 계좌 잔액내에서 상품 금액이 인출되는 방식이다. 공인인증서 저장이나 갱신이 필요 없기 때문에 카드등록, 개인 인증 등의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 사용에 불편을 느낀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더불어 팡팡페이 이용 시 기존의 10% 할인, 10% 적립 혜택과 동시에 최대 5% 의 추가 적립금이 부여된다.

사진이나 텍스트를 통한 상품 소개에서 벗어나 동영상 컨텐츠를 활용하는 비디오 커머스인 '길어야 1분'이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고객이 궁금했던 상품의 상세정보 제공과 영상을 통한 간접체험이 구매로까지 이어지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길어야 1분'의 가장 큰 포인트는 '재미'다.

TV홈쇼핑과는 다르게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상품정보를 담은 영상을 제작한다.

영상에 나온 제품을 클릭 몇 번 만으로 바로 구매를 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길어야 1분'은 홈앤쇼핑 모바일 앱 내 'TV플러스' 매장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TV베스트' 매장의 리뉴얼을 통해 인기 방송 상품을 고객이 원하는 카테고리에서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이용편리성을 향상 시켰다.

■네이버 ID를 연계한 간편 회원가입 및 로그인 서비스 도입
홈앤쇼핑에 신규 회원가입을 하고자 하는 고객은 네이버 계정만 있으면 번거로운 회원가입 절차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이디나 비밀번호 를 기억하지 못해 이용에 불편을 겪었던 기존 회원들 역시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 인이 가능해져 회원가입 부담 경감과 로그인 편리성이 개선됐다.

네이버를 통한 간편 회원가입 . 로그인 서비스 도입은 앞서 도입된 카카오톡 연계 서비스와 더불어 고객의 접근편리성을 향상시켰다는 평가다.

한편, 홈앤쇼핑의 대표적 중소기업 판로확대 사업인 일사천리 사업 또한 모바일 서비스 확대에 발맞추어 미리주문 기간 및 운영상품 수 확대를 통해 모바일 상시 판매 활성화를 추진 중이다. 이는 홈앤쇼핑에 입점하는 중소기업 협력사의 판로확보 및 매출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yutoo@fnnews.com 최영희 중소기업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