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6·25 최대 격전지 ‘영천전투 역사’ 후손들에 알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 21일 개장… 전시관-전투체험시설 등 갖춰

시가지 공방戰 등 입체영상 체험

동아일보

영천시 창구동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를 찾은 시민들이 시가전 체험시설에서 서바이벌 게임을 하고 있다. 영천시 제공


경북 영천시가 창구동 마현산의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를 21일 개장한다. 연면적 2540m² 3층 규모의 전망타워 전시관과 입체영상실, 1만1475m² 규모의 전투체험시설, 훈련장을 갖췄다.

시는 2011년부터 6·25전쟁 당시 최대 격전지로 꼽혔던 영천전투의 역사를 알리기 위해 전투메모리얼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했다. 창구동 일대 9만2700여 m²의 체험 권역과 고경면 일대 2만8000여 m²의 추모 권역으로 나눠 조성 중이다. 영천전투는 낙동강방어선을 지키고 반격의 전기를 마련한 기념비적인 전투로 손꼽힌다. 육군3사관학교 인근에 2011년 국립영천호국원을 지은 이유도 영천전투를 기리기 위해서다.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는 이전 15일간 시범 운영을 했다. 6·25전쟁 때 영천역 일대를 재현한 시가지 및 자연 지형을 활용한 고지에서 플라스틱 탄알(BB탄) 권총을 들고 감지센서가 부착된 헬멧과 조끼를 착용한 채 서바이벌 전투를 체험했다. 이정철 씨(42)는 “사방에서 BB탄이 날아들고 건물을 방패 삼아 반격하는 총격전이 실감났다”고 말했다. 7가지 기초체력훈련을 체험하는 국군훈련장도 어린이들에게 반응이 좋았다.

전망타워 전시관에서는 영천전투 및 지프를 타고 보는 듯한 고지전투, 영천 시가지 공방전 같은 전시 체험물을 입체영상으로 만날 수 있다.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는 오전 9시∼오후 6시에 열며 월요일은 쉰다. 서바이벌 체험 이용료는 어른 기준 시가전 1만5000원, 고지전 2만 원이다. 어린이 이용시설인 국군훈련장은 3000원. 예약 및 안내는 홈페이지(memorial.yc.go.kr)를 참조하면 된다.

시는 상반기에 호국안보 체험 및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중학교 자유학기제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호국안보 스쿨을 준비하고 있다. 연말까지 국립영천호국원이 있는 고경면 인근 2616m² 터에 4층 규모의 추모시설인 호국기념관을 건립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를 중심으로 호국관광벨트를 구상하고 있다. 영천 출신인 최무선 장군을 기리기 위해 2012년 문을 연 최무선과학관은 확충 사업이 한창이다. 이곳은 최 장군의 삶을 살펴보는 자료와 화약발전사 등으로 꾸며졌다. 화약불꽃놀이와 화포 체험도 할 수 있다. 과학의 날(4월 21일)에 맞춰 꿈나무잔치도 연다. 연간 5만여 명이 찾는다. 시는 이곳에 연말까지 60억 원을 들여 1000여 m² 규모의 영상체험시설을 건립한다. 내년까지는 10억 원을 들여 로켓과학을 체험하는 역사불꽃 놀이마당도 만든다. 고려 말 건축물과 화포도 재현한다. 김영석 영천시장은 “영천의 호국안보 정신과 과학 문화 역사를 활용한 체험교육 현장으로 관광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장영훈 기자 jang@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