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MWC2017] SKT, “AI 집사시대”…주인 알아보는 AI로봇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어 회화 가능한 AI비서 ‘누구’로 국내외 스마트홈까지 제어


주인을 알아보는 인공지능(AI)로봇이 등장했다. AI로봇이 이용자의 음성명령은 물론 얼굴과 손동작 등을 인식해 작동할 수 있게 된 것. 이는 AI로봇이 집안 곳곳에서 음악재생과 일정 및 요리법 안내를 비롯해 전자상거래와 간편결제까지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AI로봇이 이용자의 얼굴을 알아본다는 것은 강력한 보안 인증체계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MWC2017'에서 선보일 인공지능(AI) 로봇 현황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은 오는 27일(현지시간)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 월드콩그레스(MWC)2017’을 통해 총 5가지 유형의 AI로봇을 선보인다고 22일 밝혔다.

■주인 얼굴까지 알아보는 '소셜봇' 등장
우선 SK텔레콤의 차세대 AI로봇은 음성명령은 물론 영상까지 인식할 수 있는 탁상형 ‘소셜봇(Social Bot)’이다. AI로봇 얼굴 부문에 카메라와 소형화면을 장착, 이용자의 목소리와 손동작에 따라 작동하거나 정보 검색 결과물을 보여주도록 한 게 특징이다. 즉 손바닥을 정면으로 내밀어 ‘그만’ 표시를 하는 것만으로 작동을 멈출 수 있고, 이용자와 대화하며 적절한 표정도 지을 수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향후 독자 개발한 ‘지능형 영상인식 기술’도 탑재해 AI로봇이 이용자의 얼굴을 알아본 뒤, 개인화된 맞춤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며 “영국 정부 내 국가기간시설 보호센터(CPNI)로부터 최고 레벨의 기술 인증을 받기도 한 지능형 연상인식 기술은 향후 AI비서 ‘누구(NUGU)’에도 적용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음성명령은 물론 영상까지 인식할 수 있는 SK텔레콤의 차세대 AI로봇 /사진=SK텔레콤

■AI비서 '누구'…한국어 이어 영어까지 습득
어린이를 위한 ‘토이봇(Toy Bot)’의 시제품도 MWC에서 공개된다. SK텔레콤이 직접 개발한 실시간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적용된 토이봇은 집안 무선인터넷(WiFi)과 연결, 자녀들이 “엄마 보고 싶어”라고 말하면 곧바로 부모와 통화를 연결해준다.

SK텔레콤의 음성인식 기반 AI 비서 ‘누구(NUGU)’도 한층 강화된 모습으로 해외 무대에 진출한다. IBM의 AI플랫폼 ‘왓슨’을 기반으로 구축된 SK(주)C&C의 AI서비스 ‘에이브릴’을 연동해 라디오 재생, 날씨 안내, 상식 질의 등을 영어로 구현할 수 있게 됐다. 영어 대화 기능은 연내 도입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누구나 집안에 AI 기반 영어 회화 선생님을 둘 수 있게 된다는 게 SK텔레콤 측 설명이다.

또 누구는 외부 개발업체가 만든 AI 로봇 시제품 2종과 연동, 새로운 AI 로봇 유형을 제시할 예정이다. 우선 IPL사가 만든 애완견로봇(펫봇) ‘아이지니’는 누구와 연동해 사람의 음성 명령에 따라 움직이고 카메라로 집안 관찰(홈 모니터링)도 할 수 있다. 아울러 퓨처로봇의 상점용 로봇(커머스봇) ‘퓨로 데스크’는 누구와 결합, 고객별·상점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누구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스마트홈 허브로서, 인터넷TV(IPTV)와 공기청정기, 조명, 가스밸브 등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기능도 시연할 예정이다.

SK텔레콤 박명순 미래기술원장은 “‘누구’를 시작으로 ‘AI 대중화 시대’가 열렸다”며 “공유와 개방을 통해 AI 생태계 자체가 커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