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SKT, MWC서 360 VR 생방송 서비스 `360 Live VR`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은 오는 27일부터 나흘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에서 초고화질 360 VR 생방송 서비스 '360 Live VR'을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360 Live VR'은 360도 전 방위 화면을 제공하는 생방송 플랫폼이다. 360도 화면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총 6개 카메라 화면이 송출돼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전송 용량도 크다. 하지만 초고용량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는 5G시대에 '360 Live VR'의 활성화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회사 측은 판단하고 있다.

'360 Live VR'은 시청자들이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한 생생한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UHD 화면이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의 움직임 감지 센서(모션 트래커)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를 생방송으로 시청할 때 보통 1위 선수를 중심으로 화면이 잡히지만 이 기기를 사용하면 순위에 관계 없이 우리나라 대표 선수를 따라가며 시청할 수 있다. 아이스하키 경기도 공의 움직임을 쫓아 시청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마치 감독이 된 것처럼 전체적인 공격과 수비의 움직임을 파악하며 경기를 볼 수 있다.

SK텔레콤은 '360 Live VR'을 공개하며 차별화되는 장점 4가지를 내세웠다.

먼저 차원이 다른 선명한 화질이다. 360 VR 화면 제공을 위해서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총 6개의 방송 카메라 화면을 정합해 붙여야 하는데, 접합 부분이 어긋나거나 뿌옇게 보이기 쉽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교한 화면 접합 기술을 자체 개발해 마치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듯한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면서 "또 초당 60프레임을 제공해 타사 대비 화질 수준을 더욱 높였다"고 설명했다.

획기적으로 낮춘 전송 용량도 강조했다. 일반 방송의 경우 통상 4Mbps로 전송된다. 360 VR 방송은 이보다 4배 더 많은 16Mbps가 필요하다. 하지만 SK텔레콤은 '360 Live VR'을 6Mbps만으로도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해 필요 전송 용량을 60% 이상 줄였다. 회사 관계자는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용량을 줄이는 원리는 '화질 분리'에 있다"면서 "시청 중인 화면만 고화질로 제공하고 보이지 않는 나머지 화면은 저화질로 전송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실시간 모바일 스트리밍 지연 시간을 5초 이내로 단축하고, 실감 음향 기술을 적용한 3D 오디오도 적용했다.

'360 Live VR'은 올 상반기에 B2B시장에서 우선 상용화될 예정이며 3D 오디오 기술 적용은 하반기 중 가능할 전망이다.

한편 SK텔레콤은 MWC 전시 현장을 직접 360 VR 카메라로 촬영해 Oksusu, 페이스북, 유투브 등을 통해 실시간 및 VOD로 제공할 계획이다.

[디지털뉴스국 김경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