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미리 보는 MWC②]SKT "5G 기본…뉴 스마트홈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SKT-BMW, 세계 최초 5G 커넥티드카 T5


뉴시스

SK텔레콤 지능형 스마트홈 서비스 공개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이제 5G는 기본이다. 이를 결합한 인공지능과 커넥티드카 산업이 새로운 미래상을 제시할 것이다."

SK텔레콤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오는 27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MWC) 2017'에 참가해 New ICT(새로운 정보통신기술) 영역의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19일 밝혔다.

국내 이동통신사 중 유일하게 8년 연속 단독 전시관을 운영하고 있는 SK텔레콤은 MWC 메인홀 내 604㎡ 규모의 전시관에서 '모든 것을 연결하다(Connect Everything)'를 주제로 New ICT가 촉발할 미래 생활상을 전 세계 관람객들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올해 MWC가 열리는 '피라 그란 비아(Fira Gran Via)'는 총 9개의 전시홀로 구성된다. SK텔레콤 전시관이 위치한 제3전시홀은 삼성전자, LG전자, 퀄컴(Qualcomm), 노키아(Nokia) 등 글로벌 ICT 기업들이 전시 공간을 마련한 핵심 전시장이다.

SK텔레콤은 앞선 5G 네트워크 기반의 ▲인공지능 서비스 및 인공지능과 결합한 스마트홈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기술 기반 실감 미디어 ▲미래형 스마트 자동차 '커넥티드카' 등으로 전시관 내부를 구성했다.

특히 AI 서비스 '누구'를 통해 가전제품 등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스포츠경기 등 현장의 생동감을 실감나게 전달하는 360도 라이브(Live) VR 서비스 등에 전 세계 관람객들의 시선이 집중될 전망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AI를 기반으로 새롭게 개발한 스마트홈이 이번 MWC서 공개될 것"이라며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밝힐 순 없으나 새로운 미래상을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높였다.

또한 지난해 11월 세계 최초로 선보인 5G 기반 커넥티드카 'T5'는 MWC 전시관으로 옮겼다. 5G의 초고속·초저지연 특성을 바탕으로 한 커넥티드카의 다양한 서비스가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총 8개사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IoT(사물인터넷)∙스마트홈∙VR 등 ICT 유망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 기술들이 SK텔레콤 서비스들과 함께 전시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올해 MWC는 작년과 달리 5G가 메인 주제가 될 수 없다. 5G를 기본 바탕으로 한 AI 서비스와 커넥티트카의 미래상이 보여질 것"이라며 "5G와 AI 등 결합된 다양한 서비스들이 수면 위로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자사의 벤처 육성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았던 레온사의 플렉서블 투명 LED 디스플레이로 전시관 외벽을 구축해 눈길을 끌 전망이다. 이 디스플레이는 반대편이 비치는 투명한 유리 위에 영상을 재생하거나 문구를 띄울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사이니지다.

SK텔레콤은 MWC에서 레온사의 새로운 LED 디스플레이 제품이 전 세계 ICT 기업들에게 자연스럽게 알려지고, 나아가 세계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전시장 내 별도 미팅 공간인 'Biz. Matching Lounge'(비즈 매칭 라운지)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MWC에서 글로벌 강소기업들과 다각도의 협력을 이끌어내고 실질적 성과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 라운지에는 ▲무전 통신기술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AR∙VR 플랫폼 'T real' ▲차세대 네트워크 'ATSCALE' 등이 전시된다.

그 중에서도 MCPTT는 글로벌 재난망 운영 사업자들의 기술 협력 요청이 잇따를 전망이다. SK텔레콤과 노키아가 공동 개발한 MCPTT는 재난 상황에서 사용자가 급증해도 우수한 통화 품질과 안정적인 그룹 통신이 가능하다.

SK텔레콤 관계자는 "MCPTT이 미국·영국 등 재난망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국가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odong85@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