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전자화폐 비트코인의 거래 인프라로 시작돼 금융 부문에서 도입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람뿐 아니라 사물까지 네트워킹 되는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열리면서 제조·유통, 공공서비스, 사회·문화, 공유경제 등 전 산업과 정부기능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가 지난해 말 ‘블록체인 중장기 R&D 추진 전략안’을 마련해 블록체인 기술분야의 전략과 중점 투자 방향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단 올해 ▲사물인터넷 분야 ▲핵심 원천 기술 분야 ▲정보보호 분야에서 각각 10억 원의 연구개발(R&D) 과제를 내고, 원천 기술 개발과 함께 응용 서비스를 발굴한다. IoT를 이용한 블록체인 응용서비스를 개발하는 식이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박현제 총괄CP는 “블록체인은 보안을 넘어 IoT의 기반 인프라가 되고 있다”며 “대학 및 기업의 블록체인 기술개발에 30억을 투자하고 블록체인 분야 대학IT연구센터(ITRC) 신규 지원 등 인력 양성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300억 규모의 블록체인 시범 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예산 집행 과정에서 별도 과제가 되지 못했다.
하지만 업계는 내년에는 빅데이터나 인공지능(AI)처럼 독립적인 아이템으로 예산이 편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왜냐하면 블록체인은 신뢰성과 안정성, 효율성, 보안성을 제공해 4차 산업혁명의 인프라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다보스포럼은 ‘2027년이면 전세계 총생산의 10%가 블록체인 기술로 저장될 것’이라 했고, 국제연합은 ‘유엔미래보고서 2050’에서 미래를 바꿀 놀라운 기술 중 하나로 블록체인을 선정했다.
IITP는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 같은 공개형태 블록체인(2009년~2013년)▲나스닥 장외 주식거래 인증 같은 완전히 개인화된 기업형 블록체인(2013년~2016년)을 거쳐 ▲분산 IoT 같은 혁신 산업의 플랫폼(2017년~2022년)이 되고 ▲이후 최종적으로는 전자정부 등 완전 분권화된 공공 서비스 인프라(2022년~2030년)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미래부는 블록체인을 ICT 10대 기술 분류에 포함해 연차별 투자 계획을 포함한 중장기 로드맵을 연내에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블록체인 확산 전담팀(TFT)을 만들어 서비스 활성화에 나섰으며, IITP는 3월 중 블록체인 기술 컨퍼런스를 열고 선제적 기술 이슈 발굴과 국내외 블록체인 서비스 사례 공유, 산·학·연 전문가와의 교류의 장을 마련한다.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 센터장은 “미래부가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을 인지해 올해부터 과제를 추진한다는 점이 의미가 크다”며 “내년에는 빅데이터나 AI 처럼 하나의 독립된 아이템으로 발전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에 대한 각국 정부의 정책 지원도 한창이다.
미국은 2015년 나스닥 비상장 주식거래 플랫폼(링크)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고 지난해 6월 공공분야에서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연구를 시작했다.
일본은 지난해 5월 암호화폐 등 가상통화를 실제통화와 비슷한 기능을 갖는 ‘재산적 가치’로 인정한 데 이어 8월 블록체인 기반의 외환 시스템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지난해 6월 자국내 31개 금융회사가 참여하는 블록체인 협의체를 발족하고 10월 공신부는 ‘중국 블록체인 기술 및 응용프로그램 개발 백서’를 내놨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