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샤오미 국제화 상징` 휴고 바라 부사장, 회사 떠나 실리콘밸리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월중 샤오미 퇴사 확정

건강문제…국제화 부담 해석도

이데일리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 샤오미의 글로벌 사업 부문을 담당해 온 휴고바라 부사장이 다음 달 회사를 떠나기로 했다. 샤오미의 국제화를 상징하는 얼굴이나 다름 없었던 그는 자신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실리콘밸리로 화려하게 복귀할 예정이다.

바라 부사장은 23일(현지시간)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나는 샤오미가 글로벌 시장 확장의 길에서 매우 좋은 위치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샤오미의 글로벌 비즈니스는 더 이상 단순한 창고 스타트업 수준이 아니다. 지금이 내가 집으로 돌아갈 알맞은 때”라며 ‘박수칠 때 떠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바라 부사장은 구글 임원으로 일하던 지난 2013년 샤오미에 합류했다. 그는 각종 콘퍼런스에서 외국인 투자자들과 전문가들에게 샤오미의 전망을 소개하는 대변인 격으로 활약해왔다. 이를 통해 샤오미는 국제 시장에서도 이름을 떨치게 됐다.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 10억달러를 돌파한 인도 시장 진출에는 바라 부사장의 역할이 컸다.

바라 부사장은 중국 내에서도 샤오미를 가장 큰 스마트폰 업체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그는 샤오미에서 일하면서 소위 ‘착한 가격’의 스마트폰을 선보였고 사용자들의 온라인 커뮤너티를 활성화시켰다. 하지만 오포, 비보, 화웨이 등 중국 경쟁업체들은 샤오미를 모방하며 빠른 속도로 추격, 보다 파격적인 가격 경쟁력과 혁신적인 시장 전략을 들고나와 끊임없이 샤오미를 괴롭혔다.

바라 부사장은 과중한 업무로 건강에 문제가 생긴 것이 회사를 떠나게 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 실리콘밸리에 복귀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2월 중국에서 춘제를 보낸 뒤에 샤오미를 떠날 것”이라며 “실리콘밸리에서 새로운 모험을 시작하려면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바라 부사장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글로벌 시장을 확대해야 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된다. 레이쥔 샤오미 최고경영자(CEO)는 이달 초 “샤오미가 너무 빨리 성장했다. 지난해는 우리가 더 높은 성장을 위해 속도를 늦추고 숨을 고르던 시기”라며 최근 고전하고 있음을 시인하는 한편 올해 매출 1000억위안(한화 약 17조 원) 돌파를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