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올해에만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4012건…사망 868명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분석 발표'


【서울=뉴시스】변해정 기자 = 올해에만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봤다고 정부와 시민단체에 신고된 건수가 4000여건에 달했다. 이중 사망자는 868명이나 됐다.

환경보건시민센터가 20일 발표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분석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가 재개된 올해 4월26일부터 12월16일까지 환경부 한국산업기술원에 접수된 피해 신고는 총 4012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868명(21.6%)이 사망했다.

2011년부터 5년간 누적 피해 신고 건수는 5294건이었고, 사망자 수는 1098명(20.7%)이다.

지역별 피해 신고 건수는 인구 수에 비례했다.

경기도가 올 11월30일 기준 1563건(사망 299명)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도 피해 신고 건수가 1000건을 훌쩍 넘긴 1164건(사망 245명)에 달했다.

뒤이어 인천 388건(사망 89명), 부산 279건(사망 67명), 대구 241건(사망 38명), 경남 231건(사망 50명), 경북 201건(사망 52명), 대전 199건(사망 46명), 전북 161건(사망 32명), 충남 153건(사망 24명), 충북 146건(사망 27명), 광주 138건(사망 36명), 강원 120건(사망 21명), 전남 108건(사망 35명), 울산 65건(사망 16명), 세종 31건(사망 7명), 제주 27건(사망 6명) 순이었다.

해외 거주자가 신고한 피해 건수는 총 11건 있었다. 이중 2명이 숨지고 9명이 생존해 있다. 거주 국가별로는 캐나다가 7건(사망 1명)으로 가장 많고 미국과 뉴질랜드에서도 접수됐다. 이들은 국내에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다 해외로 이주했거나 이민을 가 한인 슈퍼에서 가습기살균제를 구입해 쓴 경우였다고 센터 측은 전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잠재적인 피해자들이 부지기수"라면서 "국회에 발의돼 검토 중인 특별법에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를 찾기 위한 특별조사기구와 피해 대책을 담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센터 측은 가습기살균제가 판매되던 1994~2011년 사이 전국의 2~3차 병원에 입원했거나 사망한 환자를 대상으로 가습기살균제와의 관련성을 조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산후조리원·요양원 등 집단시설에서의 가습기살균제 사용 현황과 건강 이상자와의 연관성도 조사 내용에 포함돼 있다.

hjpyun@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