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환경보건시민센터,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올해만 4000여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분석보고서’ 발표

지난 16일까지 누적 신고 5000건, 사망자 1000명 넘어

잠재적 피해자 1%수준 추정…특별법 제정 촉구

이데일리

[이데일리 유태환 기자] 올 한해 정부에 접수된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가 4000건이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보건시민센터 사무실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발표한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 분석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환경보건시민센터에 따르면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고 재개된 올 4월부터 이달 16일까지 환경부 환경산업기술원에 접수된 피해신고가 4012건, 이 중 사망자는 868(21.6%)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1년 9월부터 올해까지 누적 신고 건수는 5294건, 사망자는 1098명(20.7%)이다. 전체 사망자 가운데 올 들어 사망한 경우가 868명(79%)으로 5명 중 4명꼴인 셈이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올해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올해 4월 이후 언론 보도가 폭증하면서 시민들이 사건 인지와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아직도 자신 또는 가족이 피해자인 줄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므로 정부가 입원 환자 전수조사 등을 통해 관련자를 적극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소장은 현재까지 피해 신고를 한 사람들은 잠재적 피해자의 1% 수준일 것으로 추산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와 서울의 피해자가 가장 많았고 이어 인천·부산·대구 등 순으로 대체로 지자체별 인구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1월30일 기준 경기도 피해 신고 수는 1563명(사망 299명·생존 1264명)이고 서울 1164명(사망 245명·생존 919명), 인천 388명(사망 89명·생존 299명), 부산 279명(사망 67명·생존 212명), 대구 241명(사망 38명·생존 203명)이다.

해외 거주자 중에서도 사망자 2명, 생존자 9명 등 11건의 피해 신고가 있었다. 이들은 국내에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다 해외로 이주했거나 해외 한인 슈퍼에서 가습기살균제를 구매해 쓴 사람들이라고 센터 측은 설명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전국의 2~3차 병원에 입원했거나 사망한 환자를 대상으로 가습기살균제 관련성 조사 △산후조리원과 요양원 등의 시설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 사례와 관련 피해자 조사 △국회에서 계류 중인 가습기살균제 관련 특별법에 피해자를 찾는 특별기구 설치와 관련 예산 포함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강찬호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가피모) 대표는 “정부가 여전히 가습기살균제 사태에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며 “특별법을 조속히 마련해 정부가 진상을 규명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현재 국회에서는 가습기살균제 구제 관련 법안 8개가 발의돼 소관 상임위인 환경노동위원회가 심의에 착수한 상태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