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팝콘정치] 꺼진 불도 다시…촛불이 살린 남경필·김용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낙동강 오리알’이 뭍으로 다시 떠올랐다. 지난달 22일 새누리당을 탈당한 남경필 경기도지사ㆍ김용태 무소속 의원 이야기다. 이해를 따지는 정치의 물결은 무심히 그들을 쓸어내렸지만, 소신을 바라는 촛불의 물결은 세차게 두 사람을 밀어올렸다. 한때는 두 사람이 “정치적 기반을 잃고 고립되리라”는 전망까지 나왔지만, 이제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하 탄핵안) 표결 이후 비박(非박근혜)계가 새누리당에서 대거 이탈해 이들을 중심으로 뭉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는다. 혹여 탄핵안이 부결되거나 박 대통령이 ‘애매한 자진사퇴’로 정치권을 교란하더라도, 성난 민심은 두 사람에게 더욱 힘을 실어 줄 터다. ‘새누리당 모두가 최순실 게이트의 공범’이라는 인식 아래서도, 민의에 따라 당 쇄신과 박 대통령 탄핵을 외쳐온 결과다.

헤럴드경제

6일 정치권에 따르면 박 대통령 탄핵 이후 일어날 ‘여권 개편’의 핵심 고리로 남 지사와 김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지난 3일 촛불집회 직후 새누리당 비박계가 ‘조건 없는 탄핵안 표결 동참’을 결정하면서부터다. 비박계 김재경 의원(비상시국위원회 실무위원장)은 “촛불집회를 보고 국민이 바라는 것은 (박 대통령의) ‘즉시 퇴진’또는 ‘탄핵’이라는 것을 깨달았다”며 “진솔한 사과와 함께 입장을 바꿀 수 밖에 없었다”고 했다. 앞서 비박계는 친박(親박근혜)계와 함께 ‘박 대통령 4월 퇴진, 6월 대선’을 당론으로 채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탄핵안이 비박계의 이탈로 부결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과 함께 “일찌감치 탈당한 남 지사와 김 의원만 바보가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러나 촛불민심은 정치권에 ‘계산’ 대신 ‘원칙’을 강조했고, 끝내 관철했다.

결국 유력한 시나리오는 9일 탄핵안 표결 직후 비박계가 새누리당에서 대거 이탈, 제3지대에서 새롭게 세를 규합하는 것이다. 먼저 당 밖으로 나가 터를 다진 남 지사와 김 의원이 구심점이 될 수밖에 없다. 탄핵안 표결에 대한 입장을 이리저리 번복하는 과정에서 구(舊) 구심점이었던 김무성 전 대표의 신뢰도가 떨어진 것도 한 이유다. ‘비박 신당’이 향후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 중도세력과 힘을 합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지분을 남 지사와 김 의원에게 줄 수밖에는 없다는 것이다. 탄핵안이 부결되거나 박 대통령의 조기 퇴진 선언으로 정치권에 자중지란이 생기더라도 민심의 분노는 새누리당과 두 사람을 분리해 표출될 가능성이 크다. 촛불로 드러난 소신의 위력이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