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중소·중견기업]‘K-Global 스타트업 300’ 글로벌 무대에서 빛나는 작은 영웅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2차관 기고

동아일보

이달 초 우리 스타트업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해외로드쇼 행사인 ‘K-Global@’ 참석차 실리콘밸리를 찾았을 때 세계적으로 유명한 창업보육기관인 ‘플러그앤플레이’를 방문했다. 전 세계에서 모인 350여 개 스타트업들이 실리콘밸리에 진출할 수 있도록 보육 프로그램과 사무실을 제공하고 매년 100여 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최대 50만 달러를 직접 투자하고 있었다. 이 스타트업들의 투자 성공률이 70% 이상이라고 하니 될성 싶은 유망기업을 알아보고 투자하는 그들의 안목과 전문성에 감탄했다. 당시 그 비결을 알아보니 스타트업이 입주한 공간에 글로벌 대기업의 직원들이 상주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져, 서로 도움을 주는 관계로 발전해 나간다고 한다. 창업보육기관이 자신의 보육능력보다 기업 간의 네트워크가 더 중요하다고 인정하는 실리적인 사고 때문에 글로벌 대기업과 견줄 수 있는 성공한 스타트업들이 미국에서 많이 나온다고 생각했다. 19세기 이후 강대국과 약소국 사이에 일어났던 200여 건의 전쟁에 대해서 미국 보스턴 대의 역사학과 아레귄 토프트(Arreguin-Toft) 교수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약소국이 강대국과 똑같은 전략으로 싸우는 경우 이길 확률은 24%에 불과한데, 자신에게 유리한 전략을 미리 준비하고 싸울 때에는 이길 확률이 63.6%로 급상승했다. 스타트업이 작고 약하다고 무조건 불리한 건 아니라는 이야기다. 8월로 창립한지 8년이 된 글로벌 숙박공유 서비스 스타트업인 에어비앤비의 기업가치가 100개 국가에서 4700여 개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힐튼의 가치인 276억 달러를 훌쩍 넘어 300억 달러를 기록한 것이 한 예이다. 하지만 실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서 성공한 스타트업은 많지 않다. 약소국이 땅을 빼앗으려고 강대국에 싸움을 거는 행동과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시장이 갖고 있는 핵심문제를 찾고 강자가 만들어 놓은 규칙을 끊임없이 바꾸어 나가는 노력이 있어야 성공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시장을 잘 이해하고 있는 현지 투자자와 역량 있는 창업지원기관과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유통채널도 확보하는 것이 스타트업에는 매우 중요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그동안 우리 스타트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ICT 분야 유망 스타트업 300개를 ‘K-Global 300’으로 선정해 정부의 ICT 해외진출 사업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고, K-ICT 본투글로벌센터를 통해 원스톱으로 해외진출 컨설팅을 제공하며, 해외로드쇼인 ‘K-Global@’을 통해 현지 투자자와 기업들에 우리 스타트업을 소개하고 기업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등 정책역량을 집중해 지원해왔다. 이런 노력이 주효했는지 2일 세계 스타트업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미국 보스턴 매스챌린지 대회 결선에서 초소형·초고속 양자난수생성기를 선보인 정보보안 스타트업 EYL이 국내기업으로는 최초로 최고상 인 다이아몬드상을 수상, 향후 투자자들의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원격측정, 음성메모 등의 기능이 있는 스마트 줄자를 개발한 베이글랩스는 8월 미국의 대표적인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인 킥스타터로부터 135만 달러 모금에 성공했고, 실리콘밸리에서 개최된 월드컵 테크 챌린지 대회 결선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2015년 K-ICT 본투글로벌센터 멤버사로 지원받은 바 있는 아벨리노는 세계 최초로 각막이상증 관련 유전자검사기법을 개발하여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는 가운데 2015년 다보스포럼(WEF)의 ‘기술선도기업 2016’으로 선정된 후 국내외 투자자들의 러브콜이 쇄도하고 있다고 한다.

앞으로 미래창조과학부는 우리 스타트업이 보유한 창의성과 기술을 글로벌 무대에 널리 알리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다음 달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K-Global@’ 행사를 통해 중국 현지 투자자와 기업을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한중 과학기술공동위원회와 과학기술혁신포럼 등을 통해 중국에 우리 스타트업을 소개하는 협력활동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우리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을 내달리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해나가는 멋진 신화를 기대해본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