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망자 1000명 넘었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피해자 단체 주장

“특위 재구성해 무기한 활동을”

가습기 살균제 피해 사망자 수가 1,000명을 넘어섰다고 피해자들이 주장했다. 피해자들은 연일 국회 앞에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특위)의 재구성 및 무기한 활동을 촉구하고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은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습기 살균제로 목숨을 잃은 사람이 14일 기준으로 1,012명이라고 밝혔다. 이 수치는 2014년 처음 발표된 정부 1차 피해조사 결과부터 최근까지 접수된 4차 피해조사자 가운데 사망한 사람들의 숫자를 모두 센 것이다. 반면 지난 8월 정부의 공식 통계상 사망자 수는 189명에 불과했다. 4차 조사 현황이 빠져 있는데다 1~3차 조사 당시 4단계 판정을 받아 정부의 건강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돼, 이후 사망 여부가 파악되지 않은 피해자도 있기 때문이다.

시민단체와 피해자들은 드러난 사망자 수가 빙산의 일각이라고 강조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가습기 살균제 문제가 언론에 집중 보도된 올해 4월부터 6개월 동안 전체 피해신고의 74%가 집중됐다”며 “자신이 피해자인지 모르고 있다가 뒤늦게 신고하고 있기 때문에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지난 4일 특위 임기가 여야 이견으로 연장되지 못하고 종료된 것을 피해자들은 입을 모아 성토했다. 6일부터 국회 앞에서 1인 시위를 하며 특위 재구성을 촉구하고 있는 피해자 김미란(41)씨는 “국회가 고작 3개월 동안 조사를 해놓고서 지금 중단하는 것은 피해자들을 벼랑 끝으로 내미는 처사”라며 “기간을 한정하지 말고 유족들의 한이 풀릴 때까지 특위가 지속돼야 한다”고 울먹였다. 경남 밀양에서 올라와 기자회견에 참가한 3단계 피해자 안은주(48)씨는 “작년에 자비로 폐 이식을 하면서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빚더미에 앉았다”며 “돈이 없어 병원 치료조차 못 받고 있는 3, 4단계(폐 질환 인과 관계 가능성이 낮거나 없음) 피해자들의 구제가 빨리 이뤄지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피해 구제 방안의 나침반이 될 수 있는 특위의 국정조사 결과 보고서도 90일의 임기 종료 이후 2주가 다 되도록 깜깜무소식이다. 정부의 사과 명시 등을 두고 여야가 의견을 좁히지 못해 진척이 없기 때문이다. 특위 관계자는 “최근까지 국정감사에 매진하느라 여야 모두 보고서를 정리할 시간이 부족했다”며 “이르면 이번 주 내로 최종 조율 하고 보고서를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재진 기자 blanc@hankookilbo.com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