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3월이후 7년5개월來 최저
‘코리아 세일페스타’등 호재 불구
‘김영란법’여파 내수위축 불보듯
한국경제가 중대 분기점을 맞았다. 수출과 내수가 총체적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정청탁 및 금품수수 금지법(김영란법) 시행과 조선ㆍ해운에 이은 철강ㆍ석유화학 등 취약산업의 구조조정, 철도를 비롯한 공공부문 파업 등 악재가 산적해 있다.
여소야대로 경제리더십이 약화된 상태에서 오는 10일 북한노동당 창당 기념일을 전후로 북핵 위기가 고조될 가능성이 있고, 11월의 미국 대통령 선거와 12월 미 금리인상 가능성 등 대외 불확실성 요인이 4분기 내내 몰아칠 전망이다.
▶대내외 악재 산적…성장률 1%대 추락 우려= 지난해 이후 1년 반 이상 지속돼 온 수출 감소와 내수 위축으로 생산현장의 활력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만큼이나 떨어져 있다. 지난 8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0.4%로 70%선을 위협하며 2009년 3월 이후 7년 5개월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제품을 생산해도 판로가 막막하다 보니 기업들의 설비 10개중 3개는 가동을 멈춘 것이다.
3분기에 조선과 해운의 구조조정에 이어 앞으로 철강과 석유화학의 설비ㆍ생산ㆍ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생산현장의 활력은 더욱 떨어질 수 있다. 여기에다 성과연봉제와 노동개혁에 반대하는 노조의 파업이 줄을 잇고 있는 것도 큰 악재다.
[사진=수출과 내수의 동반부진에 산업계 구조조정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올 우리경제 성장률이 1%대로 추락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산업 체질개선, 새 먹거리 창출 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수출은 물론 김영란법 등으로 소비도 위축될 수밖에 없고 기업들은 구조조정 때문에 투자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그러니 해외 투자은행(IB)들이 4분기 1%대 성장 전망을 내놓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장기침체가 본격화된 상황에서 노조가 정치적 투쟁에 들어가 1990년대 말과 같은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며 “4분기가 큰일”이라고 우려했다.
▶소비, 쇼핑축제 ‘청신호’ 불구 장애물 산적= 지난해 이후 그나마 우리경제를 지탱해온 것은 민간소비였다. 다행히 지난 1~3일 연휴 동안 ‘코리아 세일페스타’의 열기가 고조됐다. 지난달말 김영란법 시행 이후에 나타났던 ‘소비절벽’ 우려도 완화됐다.
하지만 소비가 계속적으로 경제를 이끌어가기엔 장애물이 많다. 여러 장애물 가운데서도 ▷가계부채 누적으로 인한 원리금 및 이자 상환부담 ▷고용 및 노후 불안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국민소득 감소에 따른 소비여력 감퇴 등이 3대 악재로 꼽힌다.
지난해 정부의 부동산 및 담보대출 규제완화 이후 고삐뿔린 듯이 늘어난 가계부채는 이미 1200조원을 넘어 1300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가계부채가 임계치를 넘어 취약 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이 늘어나고 있으며, 미 금리인상이 단행되면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당장 경제사정이 어려워도 미래 희망이 있으면 소비를 늘리지만, 현재는 경기부진과 구조조정 등으로 고용과 소득에 대한 불안심리가 팽배해 있다. 2분기 가계 평균소비성향은 70.9%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역대 최저치에 머물렀다.
[사진=수출과 내수의 동반부진에 산업계 구조조정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올 우리경제 성장률이 1%대로 추락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산업 체질개선, 새 먹거리 창출 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김영란법 시행 이후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가 위축될 전망”이라며 “도이치뱅크발 글로벌 금융불안 재연조짐과 미 대선 및 금리인상, 유럽 지역 선거관련 등의 요인이 산재해 불안심리가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필상 서울대 겸임교수는 “성장 동력이 떨어져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고 있어 경기가 조금 좋아졌다거나 나빠졌다고 따지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없다”며 “산업 구조개혁과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근본적인 접근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해준 기자/hjle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