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강·석유화학 경쟁력 강화방안' 발표
업계, 강제 구조조정 내용 빠져 안심..정부의중 파악 어려워
일부 석화품목 조건부 정부 지원안 제시 '혼란 가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최선 기자] 정부가 30일 ‘철강·석유화학 경쟁력 강화방안’을 확정 발표하자 관련 업계들은 부담을 떠안게 됐다. 우려했던 강제적 구조조정안은 빠졌지만, 정부가 컨설팅 결과에 맞춰 통폐합, 인수합병(M&A)라는 단어를 던져 놓으면서 업계의 고민은 깊어진 것이다.
정부는 특정업체를 거론하지 않고 ‘업계 스스로 구조조정을 해야한다’는 데 방점을 찍었지만, 설비 감축, 통폐합, M&A이라는 단어를 경쟁력 강화방안에 분명히 명시했다.
철강업계 초미의 관심사는 선박에 쓰이는 후판 설비와 관련한 구조조정이었다. 조선업 불황으로 인해 후판의 수요는 주는데 중국 철강사들은 후판을 과잉 생산해 우리 철강업계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는 상황. 컨설팅을 맡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후판 생산공장을 폐쇄해야 한다는 결과를 내놓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철강업계는 불안감에 휩싸였다.
일례로 포스코(005490)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차, 장갑차 등 군수산업에 들어가는 방탄강을 만들 수 있는 업체인 데다, 현대제철(004020)은 현대·기아차의 원자재를 생산하고 있어 차량용 후판 기밀을 보유하고 있다. 결국 후판공장 폐쇄·매각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 중단, 산업기밀의 유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됐다.
우려와 달리 최종 발표에서 정부는 ‘수요 침체 품목인 후판은 업계 스스로 감축방안을 마련하라’며 업계에 자율성을 부여했다. 돈이 되는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을 높이고 생산이 과잉해 돈이 안 되는 설비를 감축하라는 교과서적인 해결책을 내놓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감축, 매각, 사업 분할 등의 극단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 점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량을 늘리고 낮은 기술력으로도 생산이 가능한 제품의 생산을 줄이는 방식, 과잉생산 품목의 생산을 줄이는 방식 등은 그동안 업계가 추진해온 대책”이라며 “이번 정부의 대책은 그동안 업계가 추진해온 방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정부가 이번 기회를 통해 경고의 메시지를 던진 것 같다”고 평가했다.
석유화학 업계도 어리둥절한 모습이다. 특히 공급과잉 주요 품목으로 거론된 테레프탈산(TPA), 폴리스티렌(PS)에 대해 정부는 ‘업계 스스로 M&A를 활용하거나 생산량 감축을 통한 해결방안을 마련하면 금융,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를 지원하겠다’는 조건부 사항이 걸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컨설팅 업체인 베인앤컴퍼니가 작성한 조사결과는 관련 업계와 충분히 공유되지 않아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단순한 생산량 감축인 지 M&A를 통한 생산량 감축인지 정부의 의중을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틀 전 석유화학업계 CEO 간담회에서 “삼성이 화학부문을 롯데와 한화에 매각하고 LG화학은 동부팜한농을 인수하는 등 의미있는 노력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저유가로 인해 일부 업체를 중심으로 높은 실적을 거두면서 사업재편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다시 시들해졌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합성고무, 폴리염화비닐(PVC) 등 취약 품목을 고부가 제품으로 유도해야 한다는 정부의 대책은 업계의 그간 노력, 컨설팅 결과 등을 그대로 인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대책은 큰 그림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이렇다할 평가를 내놓기에는 이른 것 같다”면서도 “업계가 나름의 노력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있는 중에 정부가 내놓은 방안이기 때문에 그 속내를 고민하도록 만드는 것 같다”고 전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