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철강 구조조정 중간보고서 "후판공장 절반 줄어야"... 업계는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재 가동 중인 철강업계 후판 공장의 절반을 줄이는 방향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18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철강협회의 의뢰로 철강 구조조정 방안 연구용역을 맡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국내 철강사의 후판 설비 공장 7개 가운데 3개를 단계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내용의 중간보고서를 내놓은 것으로 전해진다.

후판은 두께가 6㎜ 이상인 두꺼운 철판으로 주로 선박 건조 등에 쓰인다. 국내에는 포스코가 4개, 현대제철이 2개, 동국제강이 1개의 후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공장의 후판 생산 능력은 모두 1200만t이다.

한때 조선업 호황에 힘입어 수혜를 받았던 후판사업은 수요 감소와 값싼 중국산의 공세로 인해 공장을 돌릴수록 적자를 보는 상황에 놓였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보고서는 후판 수요가 지난해 920만t에서 2020년 700만t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2020년까지 국내 조선사의 수주량이 지난해 대비 절반 아래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면서 현재 생산 능력 중 400만∼500만t가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이어 연내 후판 공장 1개를 줄이고 2개를 단계적으로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BCG는 이 보고서를 철강협회와 업계에 전달하고 의견을 수렴한 뒤 최종 보고서를 낼 예정이다. 그러나 업계가 보고서 내용에 반발하고 있어 수정될 가능성도 있다.

특히 보고서의 주장대로 후판 공장을 3개 폐쇄할 경우 약 1000명의 인력을 줄여야 하는 부담 등 업계로선 받아들이기 어려운 점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철강협회는 보고서 내용에 대해 "세계적인 공급과잉과 수요위축 속에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고 지속성장 방안을 모색하고자 지난 5월 BCG에 컨설팅을 의뢰했다"며 "중간보고서의 품목별 전망을 검토하고 회원사 의견 등을 다양하게 수렴할 것"이라고 밝혔다.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