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코오롱인더, 타이어코드 증설 공식화..추가 구조조정 일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타이어코드 증설 검토중..조만간 의사결정

"CPI 최종 단계까지 완료한 회사는 코오롱뿐"

희망퇴직 위로금 80억원 반영.."추가계획 없어"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코오롱인더(120110)스트리가 타이어코드 증설을 공식화했다. 조만간 투자계획을 확정지을 전망이다. 석유수지 부문 역시 장기적인 관점에서 증설 검토에 들어갔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10일 여의도 교보증권빌딩에서 2분기 실적발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오래전부터 타이어코드 증설 검토를 해왔다”며 “조만간 의사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석유수지는 경쟁이 있긴 하지만 증설 검토를 진지하게 진행중”이라며 “국내와 해외 모두를 염두에 두고 검토하고 있지만 결정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이같은 투자 방향성은 최근 실적으로 충분히 설명 가능하다. 타이어코드와 에어백 등이 포함된 산업자재 부문은 2분기 매출 4281억원, 영업이익 406억원을 창출했다.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도 9.3%로 개선됐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타이어코드의 경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세”라며 “에어백은 경쟁이 격화해 단가가 하락하면서 다소 부진했다”고 말했다.

석유수지로 대표되는 화학 부문은 2분기 매출 2000억원, 영업이익 266억원을 창출했다.

저유가에 따른 원료가 하락과 여수공장 정기보수 등으로 매출 감소는 불가피했지만 여전히 영업이익률(13.3%)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 경쟁업체들이 등장하면서 시장 판매가가 하락했지만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IR에서는 앞서 지난 1일 투자계획을 발표한 투명 폴리이미드(Colorless Polyimide, CPI) 필름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거웠다.

투명 폴리이미드 사업을 총괄하는 강충석 상무는 “CPI를 연구하는 회사가 10개 정도 된다”며 “모듈 상태로 제품 단계까지 개발을 완료한 것은 코오롱인더스트리 뿐”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필름·전자재료 부문의 실적은 여전히 부진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185억원, 4억원에 그쳤다. 포장용 필름의 계절적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자재료 일부 제품의 품질 승인이 지연된 여파다.

매출 2750억원, 영업이익 164억원을 올린 패션부문에서는 중국 코오롱스포츠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작년 179개였던 중국 매장 숫자가 지난 6월말 기준 202개로 늘었고 상반기 매출이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작년에 손익분기점 수준을 맞춘 중국 코오롱스포츠는 올해 본격적으로 영업이익을 창출할 전망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올해 전망과 관련 “드라마틱한 변화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전체 매출은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 예상되며 영업이익은 10% 정도 성장하는 성과가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한편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 2분기 실시한 희망퇴직으로 약 80명의 생산직 장기근속자들이 퇴사해 퇴직금과 위로금 등으로 80억원의 일회성 비용이 2분기 실적에 반영됐다”며 “추가적인 희망퇴직은 올해 없을 것이고 내년 이후에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1342억원, 영업이익 775억원, 당기순이익 64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1% 감소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4%, 93.7% 증가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