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종합]구조조정 직격탄…울산·경남 실업률 상승폭 전국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제조업 취업자수, 2012년6월 이후 첫 감소세

울산·경남 실업률 상승폭 전국 최고 수준
청년실업률 상승세는 한 풀 꺾여

【세종=뉴시스】이예슬 기자 = 제조업 취업자수가 49개월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조선업이 밀집된 지역인 울산, 경남의 실업률 상승폭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구조조정의 여파가 지표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6만5000명 줄었다. 2012년 6월(-5만1000명)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들어 1월 14만5000명, 2월 10만8000명, 3월 12만4000명으로 10만명대를 유지했다. 4월 4만8000명, 5월 5만명, 6월 1만5000명 수준까지 떨어진 후 7월 들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심원보 고용통계과장은 "수출 부진이 지속돼 왔고 이에 따라 생산 및 출하도 부진한 상황"이라며 "조선업 구조조정의 영향도 일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조선업 밀집 지역인 울산의 실업률 상승폭은 전년 동월 대비 1.2%포인트, 경남은 1.0%포인트를 기록했다. 전국의 실업률이 0.2%포인트 낮아진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앞으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상황은 더 심각해 질 가능성이 크다.

7월 취업자 수는 2660만3000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9만8000명 증가했다. 증가폭이 전월 30만명대로 커졌다가 다시 20만명대로 내려앉은 것이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4월(25만2000명)과 5월(26만1000명) 두 달 연속으로 20만명대를 유지하다가 6월(35만4000명) 3개월 만에 30만명대를 회복한 뒤 바로 떨어졌다.

메르스로 인한 기저효과 등으로 서비스업(6월 45만4000명→7월 46만5000명) 고용이 개선세를 나타냈지만 제조업 고용 부진이 심화된 탓이다.

실업률은 3.5%로 전년 동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던 청년실업률(15~29세)은 0.2%포인트 하락한 9.2%를 나타냈다.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다.

심 과장은 "실업자가 소폭 증가했지만 취업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에 실업률이 하락했다"며 "청년 고용률은 2013년까지 하락하다가 2014년부터 상승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단계"라고 해석했다.

그는 "7월 청년고용률 43.6%라는 수치는 2007년 7월 44.0% 이후 가장 높다"며 "앞으로도 계속 상승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7%로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1년 전과 비교해 0.4%포인트 상승하며 38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이 같은 고용 증가세는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기재부 관계자는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등 정책효과 약화로 내수회복이 둔화될 우려가 있다"며 "구조조정에 따른 제조업 부진 심화가 고용 증가세를 제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추경 등 재정보강 대책을 신속히 추진하고 소비·투자 등 부문별 활력 제고 노력을 강화해 경기·고용 하방리스크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shley85@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