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6 (토)

현대·삼성重 자구안 이행 돌입…구조조정 새국면(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곳 모두 실사과정서 수주 감안 승인…대우조선은 금명 최종안 제출

연합뉴스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조선 '빅3' 가운데 현대중공업[009540]과 삼성중공업이 1일 같은 날 동시에 자구안의 잠정 승인을 받으면서 조선업 구조조정이 본격적인 자구안 이행 단계로 접어들었다.

대우조선해양[042660]도 채권단과의 협의를 거쳐 이르면 2일 최종 자구안을 제출할 예정이어서 이 회사에 대한 승인 절차까지 완료된다면 당장 이달부터 조선업 구조조정이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하게 된다.

1일 금융계 등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전날 주채권은행인 KEB하나은행으로부터 자구안이 잠정 확정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현대중공업은 자구안에 투자 유가증권과 부동산 매각, 인력 구조조정 등을 통해 2018년까지 3조5천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을 담았으며, 승인이 난 만큼 이를 계획대로 시행해 나갈 방침이다.

삼일회계법인이 지난달 말부터 2달 간 현대중공업에 대해 실시 중인 재무 실사 작업이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주채권은행은 현대중공업이 낸 자구계획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 판단했고 자구안 승인이 늦어질수록 해외 수주 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결정을 서두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에 이어 삼성중공업도 이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으로부터 자구안의 잠정 승인을 받아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돌입하게 됐다.

삼성중공업이 약 1조5천억원 규모로 제출한 자구안에는 거제도 삼성호텔과 판교 연구개발(R&D) 센터 등 비업무용자산의 매각, 보유한 유가증권의 매각, 인력 구조조정과 설비 축소 등이 포함됐다.

산업은행은 지난달 17일 삼성중공업이 제출한 자구계획이 미흡하다며 보완을 요구, 최근에 다시 자구안을 받아 검토해 합격점을 줬다. 일각에서 제기되던 대주주인 삼성전자나 삼성그룹의 지원 관련 내용은 자구안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중공업도 아직 회계법인의 재무 실사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주채권은행은 국가 경제와 해외 수주 등을 고려해 자구안을 서둘러 승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업계에서는 빅3 자구안의 승인이 조선업 구조조정 전반의 '밑그림'이 완성된 이후 한꺼번에 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러나 극심한 수주 절벽과 발주사의 횡포 등 업체들이 이중고를 겪는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금융당국과 주채권은행이 이런 사정을 어느 정도 감안한 것이다.

이같은 기조는 아직 최종 자구안 승인이 나지 않은 대우조선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은 추가 자구안에 대해 물밑에서 채권단과 수차례 드래프트(초안)를 주고 받으며 논의를 진행해 왔으며 지난달 31일 도출된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반영한 자구안 최종안을 이르면 2일 제출한다. 이후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이 직접 임직원들에게 자구안의 내용을 설명하는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추가 자구안 규모가 당초 예상을 웃도는 2조여원 규모로 알려진 가운데 최종안이 이미 물밑에서 산은과 상당 부분 조율을 거친 만큼 돌발 변수가 없다면 조만간 자구안을 확정 짓고 이행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채권단의 4조원대 지원이 결정되던 시점인 지난해 제출했던 1조8천50억원의 1차 자구안을 비롯해 4조원 규모의 자구안을 이행하게 된다.

이처럼 빅3 중 2곳의 자구안이 전격적으로 승인을 받았고 대우조선이 조만간 제출할 최종 자구안의 승인도 점쳐지고 있는 만큼, 당분간은 빅3가 각각의 자구계획을 이행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다만 현재 진행 중인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에 대한 회계법인의 경영 진단 결과가 내달 초쯤 나오면, 이 시기에 채권단과 금융당국이 조선업 전체의 밑그림을 그리는 구조조정 계획을 다시 논의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yjkim84@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연합뉴스TV 제공]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