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금융권 소극적 지원, 산업 근간 흔들어… 선별적 구조조정으로 공생 방안 찾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종수 해양플랜트전문기업협회장

“조선 기자재와 해양플랜트 기자재 업체들은 고사 직전입니다. 납품 단가를 더 내리면 산업을 유지하는 토대마저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강종수(사진) 한국해양플랜트전문기업협회 회장은 26일 단호한 어조로 조선업 위기사항을 이같이 말했다.

세계일보

한국해양플랜트전문기업협회는 조선·해양플랜트 분야 기업 168개사의 모임이다. 2011년 회원사 간 협업으로 국내 조선·플랜트 분야 전문 중견기업으로 육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됐다. 이들 기업은 위기를 맞는 조선·해양산업 최전선에서 수주 한파를 뼈아프게 체감하고 있다.

미래산업기계㈜ 대표이기도 한 강 회장은 “빅 3사(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와 STX조선 납품 단가는 회원사들의 인건비에 못 미칠 정도로 바닥”이라며 “제3국 인력을 쓰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며, 기존 보유금을 사용하거나 빚을 내어 겨우 버티고 있다”고 절박함을 말했다. 최근 회원사 168곳 중 10여곳이 폐업했고, 70~80곳은 사업 유지가 곤란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들 업체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것은 금융권의 소극적 지원이다. 해양플랜트 침체에 따른 막대한 금융부실 부담감에 국내 금융권은 조선해양업에 창구를 열어주지 않고 있다.

강 회장은 “비 올 때(해양플랜트 분야 위기상황) 우산을 거둬 업계 전체를 몰살하는 쪽으로 흘러가면 산업 뿌리마저 사라질 수 있다”며 “지금은 정부에서 적정 수준의 금융정책을 통한 적극적인 조선업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그는 조선업과 해양플랜드 분야가 위기를 맞은 지금 선별적 구조조정과 금융지원으로 옥석을 가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술 개발 투자도 지속적으로 해 유럽의 20% 수준인 해양플랜트 핵심장비의 기술 수준 등 산업 관련 기본역량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해양플랜트 산업이 다시 활성화되는 시점까지는 투자 개념으로 전문인력 양성도 필요하다.

강 회장은 “조선업에서 일본을 넘어설 수 있었던 것은 생산직 근로자들의 급격한 기능 향상 덕분이었다”며 “1990년대 이후로 전문인력에 대한 투자가 줄었고, 생산직의 노동생산성 정체도 위기를 가져오는 데 한몫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울산=이보람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