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타이밍 놓칠라" 기업구조조정 강도 높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제3차 구조조정 회의 열어 큰 틀 제시…조선·해운 타깃

"시간이 많지 않다, 현대·삼성중공업도 자구안 내라"

뉴스1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차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16.4.26/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신수영 기자,문창석 기자 = 정부가 26일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를 열고 앞으로 진행할 구조조정의 큰 틀을 발표했다. 기존 '대마불사' 구조조정에서 벗어나 산업 전반의 큰 판을 고려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찾는 것이 요지다. 그중에서도 조선·해운 등 경기민감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에 방점이 찍혔다. 이번 구조조정 과정이 시간 싸움이 될 것이란 점도 예고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기재부, 산업부, 고용부, 국토부, 해수부 등이 참여한 협의체를 열고 앞으로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회의에 앞선 모두발언에서 '사즉생'의 각오로 임하겠다며 긴장감을 높였다.

"신속하고 적극적인 구조조정으로 새로운 산업구조로 변화하는 데에 미래 한국경제의 명운이 달렸다", "우리 경제의 환부를 제거해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제활력을 되찾기 위한 피할 수 없는 과정" 등 수위 센 발언이 이어졌다.

위원장이 1, 2순위로 지목한 조선과 해운업종 구조조정이 주 표적이다. 해운업의 키워드는 '고통분담'과 '속도'다. 일단은 살리는 것이 기본방향이다. 하지만 올 상반기를 지나면 구조조정 타이밍을 놓친다는 데 고민이 있다. 임 위원장이 "5월 중순까지 용선료 인하 협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며 작심 발언을 곁들인 이유다.

용선업자 등 비협약채권자도 회사를 살리기 위한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라는 것과 성공적인 구조조정을 위해 남아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는 두 가지 메시지를 모두 담았다. 속도감 있는 구조조정을 위해 이해관계자들을 압박한 것이다.

이는 현재 자구안을 수정 중인 한진해운에 대한 경고도 된다. 한진해운은 전날 산업은행에 자구계획을 제출했지만, 산은은 용선료 협상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라며 이를 반려했다.

◇조선업, 업계 자율과 새판 짜기 동시 진행

조선업은 자구안을 받아 보기로 했다. '자율적인 개선노력'과 '새판 짜기'가 키워드다. 산은이 주주인 대우조선해양은 물론이고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채권단을 통해 자구계획을 내야 한다.

대우조선은 이미 지난해 자산매각(3587억 원), 인력감축(709명), 수익성개선(3000억 원) 등 노력을 보였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자산매각, 양사 각각 1500명 수준의 인력감축 등을 했다. 하지만 세계 선박발주량 감소로 경영여건이 날로 나빠져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게 정부의 진단이다. 실제로 이날 정부가 내놓은 조선업 방안은 수주량 제로 수준의 최악의 시나리오를 전제로 했다.

관심을 모았던 조선 3사 '빅딜'은 정부 주도로는 추진하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대신 미래 포트폴리오(자산 배분), 업체별 최적 설비 규모 등에 대한 업계 공동 컨설팅을 해 산업재편을 유도할 방침이다. 업계 스스로 상황의 심각성을 깨닫고 부문별 매각, 인수·합병(M&A) 등을 고민하라는 얘기다.

여타 구조조정 업종에 대한 키워드는 '장기 전략을 통한 선제 대응'이다. 철강과 석유화학 등 공급과잉 업종도 컨설팅을 받아 중장기적인 산업 재편을 도모한다.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 자본확충에도 나선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추가손실이 늘어날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임 위원장은 "재정으로 지원하거나, 한국은행 출자를 통해 할 수 있는데 규모와 방안은 상황을 보아 확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를 계기로 구조조정에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임 위원장은 "개별기업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반드시 채권단이 중심이 돼야 한다"고 밝혀 정치논리에 따른 개입도 경계했다.
imlac@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