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메르스·가뭄에 성장 부진…국민총소득도 4년반만에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종합) 실질 GNI -0.1%…기업 해외 배당소득 줄어

뉴스1

서울 가락동 농수산종합도매시장에서 상인들이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 (서울=뉴스1) 손형주 기자 © News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국내외에서 우리나라 국민이 벌어들인 총소득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4년6개월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실질 국내총생산(GDP)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소비가 위축되고 가뭄 등 작황 부진으로 농·림·어업도 크게 뒷걸음질치면서 전기대비 0.3% 성장에 그쳤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5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0.1% 감소했다. 실질 GNI가 감소세를 기록한 것은 2010년 4분기 -1.9%를 기록한 이후 18분기(4년반) 만에 처음이다. 실질 GDP 성장률이 낮아지고 국내 기업이 해외에 투자를 해서 벌어들이는 배당 수익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2분기 실질 GDP는 전기대비 0.3% 성장했다. 지난 6월 발표한 GDP 속보치와 같은 수준이다. 내수의 GDP 성장기여도는 0.6%로 1분기 1.0%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했다. 수출 기여도는 -0.3%로 1년째 마이너스 기여도를 이어갔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0.5% 감소했다. 명목 국내총생산은 전기대비 0.7% 증가했으나 국내 기업이 해외에 투자를 해서 벌어들이는 배당이나 수익을 뜻하는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5조9000억원에서 1조1000억원으로 줄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 성장률은 교역조건 개선에도 불구하고 국외순수취요소소득(한국인이 외국서 번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번 소득을 뺀 것)이 크게 줄어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0.3%)보다 낮은 전기대비 -0.1%를 기록했다.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2.7% 상승했다.

김영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실질 GNI가 감소한 것은 메르스와 가뭄의 영향으로 2분기 GDP 성장률이 0.3%로 낮아지고 국외순수취요소소득(한국인이 외국서 번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번 소득을 뺀 것)이 전분기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우리 기업들이 외국으로부터 배당 수익을 받는 시점에 따라 변동성이 큰 편"이라며 "1분기 실질GNI가 4.2%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에 2분기 기저효과도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분기중 민간소비는 메르스 여파로 의류 등 준내구재, 서비스 소비가 줄어 전기대비 0.2%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이 늘어나면서 전기대비 1.6%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감소했으나 운송장비가 늘어 0.5% 증가했다. 반면 지식재산생산물 투자는 민간부문의 연구개발투자를 중심으로 0.7%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 휴대폰, 자동차 등이 늘어 전기대비 0.3% 증가하며 지난 1분기 성장률인 0.1%보다 소폭 개선됐다. 수입은 원유, 자동차를 중심으로 0.9% 증가했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농림어업은 가뭄 등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전기대비 12.2%나 대폭 감소했다. 농림어업 감소폭은 1990년 1분기 -16.8%를 기록한 이후 25년만에 가장 큰 수준이다.

제조업은 자동차, 휴대폰 등이 늘어 1.2% 성장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이 증가했으나 토목건설이 감소해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감소했으나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이 증가하면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2분기 총저축률은 35.3%로 국민총처분가능소득(-0.5%)이 감소한 가운데 최종소비지출(+1.5%)은 늘어나 전기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국내총투자율은 전기대비 0.1%포인트 하락한 28%를 기록했다.
junoo5683@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