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메르스·가뭄 충격…2분기 성장률 0.3%로 '곤두박질'(상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2분기 이후 5분기 연속 0%대 성장

뉴스1

서울시청 청사에 "메르스 극복을 위해 시민의 힘을 모아 주세요"라는 대형 글귀가 걸려 있다.9/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메르스(MERS·중동호흡기 증후군)충격과 가뭄, 수출부진 '삼중고' 속에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3% 성장에 그쳤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15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2분기 GDP 성장률은 0.3%로 지난 1분기(0.8%) 대비 0.5%포인트 떨어졌다.

2분기 GDP 0.3% 성장은 세수결손으로 크게 위축됐던 지난해 4분기 0.3%와 같은 수준이다. 이로써 GPD 성장률은 세월호 참사의 영향으로 작년 1분기 1.1%에서 2분기 0.5%로 급감한 이후 5분기 연속 0%대 성장을 이었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2.2% 성장했다.

2분기 성장률이 급감한 것은 메르스 충격과 가뭄의 여파가 컸다. 도소매 숙박, 보건서비스 생산이 줄어든 가운데 민간소비가 감소했다. 가뭄으로 농업생산이 두자리수로 감소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올해 경제성장을 2.8%로 하향조정하면서 "수출이 부진했고 메르스 사태와 가뭄 영향으로 2분기 성장률이 당초 전망보다 크게 낮아졌다"고 밝힌 바 있다.

2분기중 민간소비는 준내구재 소비와 서비스 소비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0.3% 감소했다. 민간소비는 세월호 참사의 영향으로 작년 1분기 0.4%에서 2분기 -0.4%로 급감한 이후 미약하지만 0%대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하지만 메르스 충격으로 소비가 얼어붙으면서 1년 만에 다시 마이너스 성장세로 전환됐다. 정부소비는 0.7%증가하며 지난 1분기에 비해 0.5%포인트 올랐다.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 재화수출을 중심으로 지난 1분기와 같은 수준인 0.1% 성장에 그쳤다. 반면 수입은 원유, 자동차 수입과 거주자 국외소비 등이 늘어나며 0.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순수출은 마이너스 0.2%를 기록하며 성장률을 깎아먹는 요인이 됐다.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감소했으나 운송장비가 늘어 0.4%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7% 증가했고,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연구개발(R&D)투자가 감소했지만 소프트웨어 투자가 늘어나면서 0.1% 증가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는 전기대비 1.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분기 3.6% 증가보다 크게 감소했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극심한 가뭄으로 농림어업이 크게 위축되고 메르스 여파로 서비스업 성장세도 크게 둔화됐다.

농림어업은 가뭄 등 영향으로 1분기 3.4% 증가에서 2분기 -11.1%로 집계되며 큰 폭의 감소로 전환됐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2.3%), 부동산 및 임대업(0.6%)이 증가했으나 도소매·음식숙박업(-0.5%),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7%), 운수 및 보관업(-1.3%) 등이 감소해 0.1% 성장에 그쳤다. 메르스로 인해 여행, 관광, 쇼핑수요가 줄어든 탓이다. 보건서비스업 생산이 감소한 것도 메르스로 인해 병원 내원과 진료가 줄어든 때문이다.

제조업은 휴대폰,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0.8% 증가했고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건설이 늘어 0.4%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2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나쁘게 나오면서 정부가 목표로 하는 3% 성장은 물론 2% 후반 성장도 간단치 않게 됐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3.1%로 잡고 있다. 이는 한은 전망치 2.8%보다 높다. 국회에 제출된 추가경정예산안이 빨리 통과되고 집행이 돼야 그나마 예상되는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junoo5683@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