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오해 일으켜" 삭제된 국정원 자료, 무슨 내용 담겼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정보원 직원 임 모(45)씨가 자살하면서 남긴 유서에서 "대테러, 대북공작활동에 오해를 일으킨 지원했던 자료는 삭제했다"고 밝히면서 삭제된 자료에 무슨 내용이 담겼는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국정원이 이탈리아 업체로부터 해킹 소프트웨어를 구매한 사실을 근거로 '민간 사찰' 의혹을 제기하는 가운데 해당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고 직접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임 씨가 '자료 삭제'를 유서에 명시했기 때문입니다.

자료의 정확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은 가운데 당장 야당에서는 민간사찰 관련 자료가 아니냐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습니다.

새정치연합 유은혜 대변인은 어제(19일) '국정원 직원의 유서로 국민 사찰 의혹은 더 커졌다'는 제목의 브리핑을 통해 "(자료 삭제는) 의혹을 규명할 수 있는 증거를 인멸한 것"이라고 규정하면서 "국정원은 삭제된 자료가 어떤 것인지, 어떤 방법으로 삭제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국정원은 삭제된 자료 내용을 확인 중으로 최대한 빨리 이를 복원해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위원들에게 공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여권 관계자는 "국정원이 일부 정보위원들에게 아무리 늦어도 이번 달 안에 삭제된 파일이 100% 복구될 것이라는 취지로 보고했다"며 "100% 복구한 뒤에 최소한 정보위원들에게는 공개할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17일 민간사찰 의혹을 부인하면서 국회 정보위원들에게 해킹 프로그램 사용기록을 공개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국정원이 정보기관 업무의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삭제된 자료에 대해서도 같은 조치를 취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은 삭제된 자료가 민간 사찰과는 관련이 없다는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런 가운데 숨진 임 씨가 "대상을 선정해서 이 직원에게 알려주면 기술적으로 이메일을 심는다든지 이런 일을 하는 기술자였다"(이철우 국회 정보위 새누리당 간사)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임씨의 업무 특성상 대테러나 대북 공작활동을 담당하는 국정원 부서에서 요청한 작업을 수행한 기록이 담긴 자료일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에서입니다.

이는 해당 자료에 대북 용의자나 대북 공작활동 관련 인사, 대테러 대상자 등의 이름이 포함됐을 개연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여권 관계자도 "삭제된 내용은 복구중"이라면서 "지금 보기에는 (활동 대상자의) 이름 같은 것을 지운 것이 아니냐고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삭제된 자료에 외부에 노출되면 안 되는 대테러 및 대북 공작활동 담당자의 신원이나 활동 목적 등이 포함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 대북정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자살한 국정원 직원이 삭제한 파일 가운데 국정원의 대북공작을 돕는 이른바 '연락책'의 휴대전화 IP 기록 등도 일부 포함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대북공작을 위해선 주요 해킹 타깃을 상대로 해킹 프로그램을 심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선 북한이나 중국을 오가는 우리측 연락책을 활용해 이런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들이 국내에 들어왔을 때 일시적으로 IP 기록이 남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정보당국 사정에 밝은 여권의 한 관계자는 "국정원은 해킹프로그램을 심는 데 협조할 수 있는 사람들을 포섭하는데 이들에 대해서도 몰래 해킹 장치를 했다고 한다"면서 "숨진 직원은 이런 사실이 공개되는 것을 우려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습니다.

이 때문에 임 씨가 유서에서 삭제 자료를 "대테러, 대북공작활동에 오해를 일으킨"이라고 표현한 것도 이런 우려를 담은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SBS 뉴미디어부)

[팩트라마] '그것이 알고 싶다' 약촌오거리 살인사건의 모든 것

[비디오 머그] SBS 동영상 뉴스의 모든 것

[취재파일] SBS기자들의 생생한 취재현장 뒷이야기

[스브스뉴스] SBS가 자신있게 내놓은 자식들

☞ SBS뉴스 공식 SNS [SBS 8News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저작권자 SBS&SBS콘텐츠허브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