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서울시 '메르스 추경' 8961억…"침체 관광·서민경제 최우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공의료 확충 등 '메르스 예산' 501억원

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에도 1589억원

뉴스1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7월1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민선 6기출범 1주년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박원순 시장은 "메르스 사태로 많은 시민이 고통을 받았다"며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데 총력대응을 펼쳐나간다고 밝혔다. 2015.7.1/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차윤주 기자 = 서울시가 추가경정예산으로 8961억원을 조기 투입,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침체된 서민경제와 관광산업 불지피기에 나선다.

서울시는 실집행 사업비 5089억원, 총계 8961억원 규모의 추경예산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예년 보다 두 달을 앞당겨 편성한 추경안은 메르스 사태로 주저앉은 관광시장을 일으키고 서민경제에 활력을 주기 위한 지원에 초점을 맞췄다.

우선 메르스로 직격탄을 맞은 서울 관광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해 올해 관광분야 사업예산을 440억원에서 648억원으로 반 가까이(208억원) 증액, 대폭 늘어난 예산을 메르스에 민감한 중국·동남아에 집중 쏟아붇는다.

동시다발적인 광고마케팅(122억원) 인터넷홍보(25억원) 한류자원 등을 활용해 관광객을 유인하고, 서울 트래블마트(5억원)·서울 관광인대회(2억원) 등 관광업계와 협력하는 행사를 연다.

메르스로 직·간접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전통시장·도심제조업 등엔 1589억원을 지원한다. 앞서 소기업·소상공인 긴급 대출자금(2000억원)을 지원한 데 이어 '중소기업육성기금' 1089억원을, 서울신용보증재단 출연금 132억원을 확대 반영한다.

문화행사 개최와 시설개선 등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에 166억원, 종로 귀금속·성수동 수제화 등 도심제조업 상품판매촉진에 17억원, 영세 봉제업 및 동대문 패션상권 활성화에 20억원 등을 지원한다.

메르스 같은 감염병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한 예산도 마련했다.

감염병 전문병원 타당성용역(3억원)을 비롯해 시립병원(163억원)과 보건소(161억원)의 음압시설 등 장비확충에 나선다. 또한 155억원 투입해 메르스사태에 협조한 시립병원(94억원) 등 의료기관의 손실을 보전해준다.

음압장비 등을 갖춘 전염병전용 특수구급차량 2대(8억원) 등 기동장비 교체·보강에 87억원, 노후 구조·구급장비 보강에 59억원, 시민 소방안전교육 시스템 보강에 19억원, 소방관 보건안전관리 강화에 12억원 등을 투입한다.

침체됐던 문화예술계엔 255억원을 배정해 활력을 불어넣는다. 자치구별 축제·행사 지원(35억원) 퇴근길 콘서트 등 예술단 공연(11억원)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운영(7억원) 등 지역축제 및 문화행사를 늘리고 소외계층의 공연예술관람 기회 확대(100억원)와 공연단체 지원(195억원)에도 예산을 쏟는다.

이밖에도 지하철 9호선 혼잡도를 낮추기 위해 차량구매에 490억원을, 노후 학교화장실 환경개선에 135억원 등을 지원한다.

시는 자치구·교육청의 재정 어려움을 덜기 위해 지난해 결산결과 정산분 일부 및 올해 지방세 증가분을 조기 정산(2588억원)하고, 지역상생발전기금 출연을 위해 353억원도 추가 반영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결산으로 발생한 순세계잉여금(4199억 원), 주택거래 활성화로 초과징수가 예상되는 취득세 및 지방교육세 증가분(1650억원), 소방안전 교부세(210억 원) 등으로 추경 예산을 확보한다. 부족한 부분은 지연되는 사업의 시기를 조정한 예산절감분(558억원)과 단기차입(1000억 원)으로 메울 계획이다.

장혁재 시 기획조정실장은 "추경예산은 시의 살림살이가 정말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민생경제 살리기가 시급하다는 시와 의회의 공감대 속에 편성됐다"며 "지속되는 경기침체 속에 메르스로 인한 시민불안, 어려운 서민경제를 고려해 조기에 재정지출을 확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chacha@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