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레이더P] 메르스 땐 거절한 안철수, 카톡 해킹의혹 위원장은 수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국정원 불법사찰의혹 조사위장이 국정원 불법사찰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있다. [사진 = 이충우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국정원의 스마트폰 해킹 의혹과 관련해 안철수 의원을 진상조사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일명 '국정원 불법카톡사찰의혹 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이다.

안 의원은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 V3를 개발한 '안랩'의 창업자로 당내 대표적인 정보통신(IT) 분야 전문가로 꼽힌다.

15일 안철수 의원은 위원장직을 수락하며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치책 마련, 국민 불안 해소에 최우선 순위를 두겠다"면서 "민간 해킹 전문가 등 외부 전문가를 포함해 10여 명의 진상조사위를 조속한 시일 내에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또 "인권 관련 문제인 만큼 국회 차원의 특위 구성이 있어야 하며 국정조사 실시 여부도 검토하겠다"면서 "국정원 해킹팀에서 만든 프로그램이 원격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거를 찾기가 어려워질 수 있는 만큼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증거 확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앞서 메르스 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을 것을 당에서 요청했지만 거절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메르스는 시스템만 갖추면 금방 잡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보건복지위 차원에서만 활동하는 게 좋다고 생각했다”면서 “그러나 이번은 전국민이 대상이고 의사는 당내에 몇 분 더 있지만 컴퓨터 보안 전문가는 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진상조사위원장 수락 배경을 설명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는 이번 국정원 해킹 의혹을 국정원 댓글 사건 '시즌2'로 규정하고 공세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문재인 대표는 "불법의 여지가 있다면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국회가 조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문 대표를 비롯한 당직자들의 스마트폰에 국가정보원의 감청 프로그램인 '스파이웨어'가 설치돼 있는지를 점검하자고 제안했다.

한편 이날 열린 국회법제사법위원회 결산에 참석한 김현웅 법무부 장관은 국정원 해킹 의혹과 관련해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과 정보위 현장조사 결과 등을 검토해 수사 착수 필요성이 있는지 검찰이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아직 정확한 사실관계는 파악이 안돼 있으니 조금 더 지켜보는 것이 마땅하다"면서 "해당 프로그램의 실제 사용처 등이 확인되면 적절한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원 해킹 프로그램의 감청설비 해당 여부에 대해 김 장관은 "감청설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견해가 우세한 것 같다"고 밝혔다.

[박승철 기자]
[정치뉴스의 모든 것 레이더P 바로가기]
기사의 저작권은 '레이더P'에 있습니다.
지면 혹은 방송을 통한 인용 보도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