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수자원개발 앞서 가뭄 피해 객관적 평가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토연구원, '가뭄 위험도' 제시

연합뉴스

(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12일 오후 극심한 가뭄으로 물이 말라버린 강원 춘천시 동면의 한 저수지에 비가 내리면서 물이 고이고 있다. 2015.7.12 hak@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올해 같은 극심한 가뭄을 막으려면 무조건적인 수자원 개발에 앞서 전국적인 '가뭄위험도' 평가를 먼저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토연구원의 이상은 책임연구원은 13일 공개된 '국토정책 브리프'를 통해 전 국토에 걸쳐 가뭄위험도를 평가하고 고위험지역에서는 맞춤형 수자원 개발을 해야 한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자료는 발간 예정인 '가뭄위험도 평가기법 구축 및 정책적 활용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요약한 것이다.

이 연구원은 "가뭄은 아무리 심각해도 건축물 붕괴 등 직접적인 피해를 일으키지 않는다"며 "발생빈도가 낮고 가시적이지 않아 가뭄 피해는 정책결정자나 주민의 기억에 오래 남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가뭄에 대비하고자 수자원을 개발하려면 정책결정자와 주민의 동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뭄 피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원은 가뭄위험도를 '장기간 강수량 저조로 해당 지역의 물 이용가능성이 물 수요에 미치지 못해 주민생활이나 경제활동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피해 규모'라고 정의했다.

또 지역별 가뭄위험도를 해당 지역의 기상조건,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량, 관로 등 물 공급시스템을 종합 검토하고 나서 주민에게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물의 양과 실제 필요한 양을 비교해 도출했다.

이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2009년 극심한 가뭄을 겪었던 강원도 태백시와 정선군 일대의 가뭄위험도를 생활용수 기준으로 분석해 냈다.

분석에 따르면 이 지역은 5∼7년 빈도 가뭄에는 피해를 보지 않지만 20∼30년 빈도의 가뭄에는 5만명의 주민이 150억원 이상의 피해를 감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월별로 따졌을 때 2월의 가뭄위험도가 가장 높고 이때 피해는 태백시청 인근 주거·상업지역과 정선군 관광지역에 집중된다는 구체적인 분석도 제시됐다.

이 연구원은 "이 지역에 추가 수원을 개발하거나 먼 곳에서 물을 끌어와 (가뭄을) 일괄적으로 해결하려는 대책은 건설비 등에 비해 사업효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며 "고위험지역에 대한 한시적인 피해완화 대책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국을 대상으로 가뭄위험도를 평가하면 잠재적 피해규모를 파악할 수 있어 정책결정자와 주민들이 투자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게 된다"며 "가뭄저감대책 대상지 선정 시에는 객관성을 확보하고 투자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jylee24@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