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7 (목)

이명박 ‘탄압’ 노무현 ‘돌파’ 김대중 ‘설득’ 김영삼 ‘응변’… 역대 대통령의 ‘국정 위기 대처 리더십’ 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근혜 정부가 인사 참사 파문으로 위기에 처하면서 역대 대통령의 국정위기 대처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위기 극복 리더십은 ‘탄압형’이었다. 이명박 정부는 집권 초기 ‘광우병 촛불시위’가 들불처럼 번지며 궁지에 몰렸다. 이 전 대통령은 잠시 물러서는 듯했으나 촛불시위가 잦아들자 사정카드를 꺼내들었다. 검경은 촛불시위자에 대한 탄압에 나섰다. 결국 사정 칼날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로 이어졌고, 비극적 사건을 낳았다. 이명박 정부의 국정동력은 더 떨어졌다.

경향신문

노무현 전 대통령은 ‘정면돌파’ ‘충돌형’ 리더십이었다. 취임 초 한나라당이 대북송금특검제 도입을 요구하자 “도박 같은 결단이라고 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신뢰를 위한 정치를 해보고 싶다”며 수용했다. 2003년 최측근인 최도술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비리가 터지자 노 전 대통령은 “입이 열 개라도 그에게 잘못이 있다면 제가 책임지겠다. 재신임을 묻겠다”고 했다. 같은 해 측근인 안희정씨가 기업에서 돈을 받아 수사를 받고 있던 사건과 관련해 노 전 대통령은 한 방송 토론무대에서 직접 사과했다. 2003년 대선자금 문제로 시끄러워지자 노 전 대통령은 “노무현 캠프의 대선자금이 한나라당의 10분의 1 이상을 받았으면 사퇴하겠다”며 정면돌파를 선택했다. 대통령이 번번이 직접 해결사로 나섰지만, 리더십엔 계속 상처가 났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사상 첫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룬 정부를 유지하기 위해 설득과 통합의 리더십을 앞세웠다. 김 전 대통령은 출범 전 ‘DJP(김대중+김종필) 연합’ 동반자인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를 국무총리로 내정했으나 야당 반대로 인준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김 전 대통령은 김 전 총재를 총리서리로 임명한 후 야당을 설득해 8개월 만에 정식 총리로 만들었다. 또 2002년 연이어 장상·장대환 총리 후보자가 낙마한 이후 보수진영을 고려해 야당과 가까운 김석수 전 대법관을 지명해 야당 지지를 얻어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돌파형이면서 임기응변을 가미한 ‘임기응전(臨機應戰)’ 리더십이었다. 대구·경북(TK)의 이반으로 1995년 지방선거에서 패하며 위기에 몰렸지만, 1996년 이재오·김문수·홍준표 등 ‘YS 키즈’ 개혁공천으로 승리하며 돌파했다. 하지만 아들 김현철씨 파문으로 위기에 처한 1996년 말엔 노동법과 안기부법 날치기의 ‘강 대 강’ 전략으로 응전했다가 파국을 맞았다.

<강병한 기자 silverman@kyunghyang.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