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5 (토)

<백령도 무인기 연료부족 추락…영상 송신기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주 무인기 엔진고장 추락…두 비행체 레이더파 흡수재질 사용

연합뉴스

지난달 24일 파주에 추락한 무인항공기(왼쪽)와 지난달 31일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 항공기. (국방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파주와 백령도에서 각각 추락한 무인항공기의 비행경로와 비행체 재질, 카메라 성능 등 주요 제원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백령도에서 추락한 무인기의 비행체 재질은 '폼코어'로 밝혀졌다. 유리섬유를 겹겹이 쌓은 형태의 재질이다.

같은 달 24일 파주에서 떨어진 무인기의 비행체 재질은 탄소소재인 폴리카본에이드로 제작됐다. 우리 군 레이더망을 회피하도록 레이더파를 흡수하는 폼코어나 폴리카본에이드 소재로 기체를 만든 것으로 군은 추정하고 있다.

백령도 추락 무인기는 애초 비행연료량의 계산을 잘못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엔진을 분해한 결과 연료가 부족해 엔진이 정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체 착륙용 낙하산은 펼쳐지지 않았다.

파주 추락 무인기는 엔진고장으로 결론났다. 엔진을 분해하자 북한으로 복귀할 수 있는 정도의 잔여 연료가 남아 있었다고 한다. 착륙용 낙하산을 펼쳐진 채 떨어졌다.

백령도 무인기는 '니콘 D-800'을, 파주 무인기는 '캐논 550D' 카메라를 각각 장착했다. 파주 무인기에는 청와대 등 사진 193장이 찍혀 있었고 백령도 무인기에는 소청도와 대청도 지역의 사진이 찍힌 것으로 알려졌다.

엔진은 모두 휘발유를 연료로 사용했지만 백령도 무인기는 4기통, 파주 무인기는 2기통으로 제작됐다.

두 무인기 모두 실시간 영상 송·수신은 불가능하고 카메라로 정지영상을 촬영하고 지상에 착륙한 다음 회수하는 방식으로 분석됐다.

백령도 무인기에는 원격조종용 통신장비와 비행자료 송·수신기를 탑재했다. 인공위성위치정보(GPS) 수신용 안테나는 두 기종 모두 장착했다.

백령도 무인기는 평안남도 온천지역에서 출발한 것이 우리 군 레이더에 포착됐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 쪽에서 날아와 소청도와 대청도를 스캔하듯 지그재그 방식으로 운항하며 촬영했다"면서 "백령도 지역의 사진은 촬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파주 무인기는 서울 상공을 거쳐 경기북부 지역으로 이동하다가 추락했다.

백령도 무인기는 우리 레이더망에 탐지됐지만 파주 무인기는 포착되지 않았다.

국방부 관계자는 "우리 방공부대가 운용 중인 저고도 레이더는 북한의 저공침투기인 AN-2와 헬기 등을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무인기는 제한이 있다"면서 "무인기가 300m 상공으로 올라가면 소리도 안 들리고 육안 관측도 어렵다"고 말했다.

파주 무인기의 엔진 배터리 앞·뒷면에 '기용날자'와 '사용중지 날자'라는 북한식 표현이 사용됐다. 북한에서는 우리말 '날짜'를 '날자'로 표기한다.

제원을 보면 백령도 무인기는 날개 폭 2.46m, 길이 1.83m, 무게 12.7kg, 프로펠러 50.8cm 등이다. 후방 날개는 V자형으로 제작됐다.

파주 무인기는 날개 폭 1.92m, 길이 1.43m, 높이 55.7㎝, 무게 15㎏이다.

threek@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연합뉴스

<그래픽> 北, 백령도 무인항공기 비행 추정경로(종합)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이재윤 기자 = 백령도에서 지난달 31일 추락한 무인기는 북한을 출발한 뒤 소청도와 대청도를 거쳐 백령도까지 날아왔다가 연료부족으로 추락한데 비해 파주에서 떨어진 북한 출발 추정 무인기는 엔진고장으로 추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bjbin@yna.co.kr yoon2@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