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가스공사 사장 "자구 노력만으론 해결 불가…요금 인상 필요"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벼랑 끝 선 심정…수요 적은 여름 인상해야 단계적 연착륙"

'외상값' 미수금 13조5천억원까지 증가…현재 원가 80% 수준서 공급

연합뉴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
(세종=연합뉴스)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22일 세종시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22일 "극단적 상황을 막고자 모든 수단을 가동하고 있으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해 안정적 가스 공급을 위해서는 조속한 요금 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사장은 이날 세종시의 한 음식점에서 연 기자 간담회에서 "현재 미수금 규모는 전 직원이 30년간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가 불가능해 마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미수금은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에 가스를 공급한 뒤 원가와 공급가의 차액을 향후 받을 '외상값'으로 장부에 적어 놓은 것으로 사실상의 영업손실이다. 가스공사의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13조5천억원에 달한다.

액화천연가스(LNG) 도입을 책임지는 가스공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초래한 국제 에너지 위기 이후 원가보다 싸게 가스를 공급해 심각한 재무 위기를 겪고 있다.

2022년 이후 가스요금이 40%가량 인상됐지만, 현재 도시가스 원가율은 여전히 80% 수준이다. 가스공사가 1억원어치 가스를 공급하면 2천만원의 손해가 난다는 뜻이다.

가스공사에 따르면 2022년 이후 국제 LNG 가격은 약 200% 상승했지만, 국내 가스요금은 약 43% 인상되는 데 그쳤다.

최 사장은 요금을 올린다면 각 가정이 난방을 하지 않아 가스 사용량이 적은 여름이 적기라고 주장했다.

그는 "겨울에 사용량이 많은 수요 패턴상 요금 인상으로 인한 국민 체감도는 겨울철에 훨씬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수요가 적은 여름철에 요금을 인상하고 단계적으로 연착륙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 사장은 13조원대 미수금의 영향으로 가스공사가 차입 규모를 확대할 수밖에 없어 재무 안정성이 심각한 수준으로 악화했다고 밝혔다. 가스공사의 차입금은 2021년 말 26조원에서 2023년 말 39조원으로 늘었다. 같은 시기 부채비율은 379%에서 483%로 상승했다.

그는 "현재 차입으로 살림을 꾸려가고 있는데 차입에 따른 이자 비용만 하루 47억원에 달한다"며 "이자 비용 증가는 다시 요금 상승 요인이 돼 국민 부담으로 이어진다"고 했다. 가스공사는 작년 한 해 이자 비용으로 1조7천억원을 썼다.

가스공사는 13조5천억원에 달하는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을 회수하려면 점진적인 방법이 현실적이라는 입장이다.

민수용 미수금을 1년 만에 모두 회수하려면 MJ(메가줄)당 가스 요금을 약 27원 인상해야 한다. 현재 도시가스 주택용 도매 요금은 MJ당 19.4395원이다.

최 사장은 "정부와 (여러) 시나리오를 놓고 협의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가 (인상 폭이) 얼마라고 전혀 머릿속에 가지고 있지는 않다"며 "국민들이 인상에 공감해야 의사 결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양대 에너지 공기업인 가스공사와 한국전력의 심각한 재무 위기 완화를 위해 가스·전기 요금의 인상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다만 물가와 민생 등 경제 전반에 끼치는 영향이 커 적절한 시점을 찾는 데 고심 중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7일 기자들과 만나 "전기·가스 요금 정상화는 반드시 해야 하고 시급하다"면서도 "아직 중동 상황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계속 주시하면서 전기·가스 요금 인상의 적절한 시점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가스요금의 경우 홀수 달마다 요금을 조정해 가장 빠르면 7월 인상도 가능하다. 전기요금은 분기별로 조정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전기 사용량이 많은 여름철이 시작되는 6월 전기요금이 인상될 가능성은 작다는 관측이 많다.

ch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