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정동길 옆 사진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가 열리고 있다. 정효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 탄신일인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024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가 열렸다. 참가자들은 아나운서가 읽어주는 문장을 세 번 듣고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지켜 바르게 써야 한다. 46개국 92명의 외국인이 참여해 받아쓰기 실력을 겨뤘다.

‘대한민국은 사게저리 있는 나라입니다’, ‘바람이 푼다’, ‘빤짝빤짝’ 등 오답을 써낸 참가자들은 쓰고 있던 모자를 벗으며 아쉬워했다. 한 참가자는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든 글자입니다’ 문제를 풀면서 익숙한 듯 ‘세종대왕님’이라고 썼다가 정답을 고치기도 했다.

참가자들의 한국어 실력도 다양했다. 첫 번째 문제부터 탈락한 참가자들이 있는가 하면, 제일 좋아하는 단어로 ‘균형’을 꼽은 한 참가자는 “모두가 삶의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고 말해 심사위원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마지막까지 남은 참가자는 상금 300만 원을 받는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효진 기자 hoho@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